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164
한자 萊城初等學校
영어의미역 Naesung Elementary School
이칭/별칭 내성초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 173[복천동 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초등학교
설립자 부산부
전화 051-550-8600
홈페이지 내성초등학교(http://naesung.es.kr)
개교 시기/일시 1907년 4월 1일연표보기 - 공립동래보통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45년 9월 27일 - 복정국민학교로 재개교
개칭 시기/일시 1911년 4월 1일연표보기 - 공립동래보통학교에서 동래공립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5년 4월 1일연표보기 - 동래공립보통학교에서 동래제1공립보통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8년 4월 1일연표보기 - 동래제1공립보통학교에서 동래제1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1년 4월 1일연표보기 - 동래제1공립심상소학교에서 공립복정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7년 2월 28일연표보기 - 복정국민학교에서 내성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연표보기 - 내성국민학교에서 내성초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2년 4월 1일 - 동래공립보통학교 여자부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5년 4월 29일 - 여자부가 동래제2공립보통학교로 분리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4년 4월 20일 - 부설간이학교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3년 3월 21일 - 부설간이학교를 금사분교장으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6년 6월 1일 - 금사분교장이 금사국민학교로 분리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5년 11월 1일 - 체육 연구 학교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4월 7일 -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거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2월 13일 - 미래형 과학 교실 창의 경영 학교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2월 - 고 이수현 졸업[제77회 졸업생, 일본 유학 시절 지하철역에서 일본인 구하고 의사(義死)]
최초 설립지 공립동래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 173[복천동 72]지도보기
현 소재지 내성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 173[복천동 7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착하고 튼튼하며 창의적인 어린이를 기른다’이다.

[변천]

1907년(순종 1) 4월 1일에 공립 동래보통학교동래구 복천동에서 개교하였다. 「조선 교육령」에 의해 1911년 4월 1일에 동래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12년 4월 1일에 여자부를 설치하였다. 1925년 4월 1일에 동래제1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그해 4월 29일에 여자부가 동래제2공립보통학교[현 낙민초등학교의 전신]로 분리 개교하였다. 1934년 4월 20일에 금정구 서동에 부설 간이 학교를 개교하였고, 1938년 4월 1일에 동래제1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일제에 의해 1941년 4월 1일에 공립복정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3년 3월 21일에는 부설 간이 학교를 금사분교장으로 변경하였다.

해방 이후 1945년 9월 27일에 복정국민학교로 재개교하였으며, 1946년 6월 1일에 금사분교장이 금사국민학교로 분리 개교하였다. 1947년 2월 28일에 내성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6년 3월 1일에 내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다시 변경하였다. 2007년 4월 7일에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가졌다. 2012년 9월 1일에 제24대 황을숙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15일에 제103회 졸업식을 통해 108명이 졸업하여 총 3만 276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내성초등학교는 창의·체험 중심의 인성 교육 강화, 봉사 활동의 생활화를 통한 ‘더불어 사는 어린이[德] 육성’, 기초 체력 강화 운동 실시, 질서의 생활화 추진을 통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體] 육성’, 탐구·체험 중심의 교육 과정 운영, 자기 주도적 학습력 강화를 통한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智] 육성’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 호기심 누가 기록장과 멀티파크 활용을 통한 미래형 과학 교실 운영을 실시하고 있으며, 역점 사업으로 평가·환류 시스템 및 학습 플래너 활용을 통한 학력 신장을 실시하고 있다.

1975년 11월 1일에 문교부로부터 체육 연구 학교로 지정되어 운영하였고, 2012년 2월 13일에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미래형 과학 교실 창의 경영 학교로 지정되어 운영하고 있다. 창의 경영 학교란 학교 단위의 자율·책임·창의 교육을 통해 창의·인성 교육과 진로 교육,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을 추구하는 학교를 말한다. 미래형 과학 교실은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각종 수업 모델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과학·기술·문학·예술을 연계한 교육을 통해 융합 인재[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를 양성하는 모델이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

태백산 정기 맺힌 학소대 아래/ 아담히 자리 잡아 우뚝 솟았네/ 유구히 빛난 전통 이어받아서/ 길이길이 빛나도다 부산 내성교.

2. 교목: 은행나무이다.

3. 교화: 목련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0학급에 398명[남 198, 여 200]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3학급에 45명[남 23, 여 22], 2학년은 2학급에 42명[남 20, 여 22], 3학년은 3학급에 61명[남 25, 여 36], 4학년은 4학급에 66명[남 33, 여 33], 5학년은 4학급에 83명[남 47, 여 36], 6학년은 4학급에 101명[남 50, 여 51]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22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2명으로 총 26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5540㎡로, 예절실, 방송실, 미술실, 실과실, 영어실, 역사관, 도서실, 해양 탐구관, 체육 탐구관, 강당, 관찰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