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090
한자 釜山第-公立尋常小學校
영어의미역 Busan First Public Simsang Element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강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일본인 교육 기관
설립자 부산학교조합
인가 시기/일시 1877년 - 공립학교 개설
개교 시기/일시 1877년 5월 1일연표보기 - 개교
이전 시기/일시 1878년 - 대내청으로 이전[현 부산광역시 중구]
이전 시기/일시 1879년 - 대내청에서 정토진종대곡파동본원사부산별원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880년 7월 - 정토진종대곡파동본원사부산별원에서 묘각사 협약사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888년 12월 - 묘각사 협약사에서 서정[현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02년 10월 - 서정에서 대청정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880년 7월연표보기 - 공립학교에서 수제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888년 12월연표보기 - 수제학교에서 부산공립소학교부산공립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895년연표보기 - 부산공립소학교에서 부산공립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06년 4월연표보기 - 부산공립소학교에서 부산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08년 4월연표보기 - 부산심상소학교에서 부산거류민단립부산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2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거류민단립부산심상소학교에서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6년 3월 31일연표보기 -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에서 남일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8년 9월 1일연표보기 - 동광초등학교와 통합하여 광일초등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본정 - 부산광역시 중구
주소 변경 이력 서정 1정목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주소 변경 이력 서정 영사관사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주소 변경 이력 대청정 -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74[대청동 4가 95]
현 소재지 광일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74[대청동 4가 95]지도보기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에 있었던 공립 일본인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부산 지역은 1877년(고종 14) 최초의 일본인 소학교 설립을 시작으로 근대 초등 교육을 접하였다. 1877년 설립된 공립학교는 부산의 전관 거류지 내 일본인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최초로 설립된 초등 교육 기관이었다. 그러나 국권 강탈 이후인 1912년,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釜山第1公立尋常小學校)로 개칭하면서 부산 지역의 일본인 초등 교육을 담당하였다. 국권 강탈 이전, 부산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자제를 위한 초등 교육 기관의 설치는 부산이 일본과 근접한 지리적 요인으로 인하여 일본의 조선 침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강요당하였음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변천]

1876년(고종 13) 부산이 개항됨에 따라 일본은 같은 해 9월 14일에 『태정대신포고』 128호를 통해 일본의 일반 국민들이 부산으로 도항할 수 있도록 허가를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일본인들이 부산으로 이주를 하였고, 이들의 자녀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이에 1877년 5월 1일에 본정[중구 일대] 전관 거류지 내의 거류지 사무소[혹은 거류지 총대역소]의 방을 빌려 교실로 개장한 뒤, 사무소의 직원이었던 우에노가 총 13명의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1878년(고종 15) 학생의 증가로 교실이 협소하여 내대청[후일 제1소학교문 자리] 1채를 빌려 교실로 사용하였다. 1879년(고종 16) 다시 정토진종 대곡파 동본원사 부산별원(淨土眞宗大谷派東本原寺釜山別院)으로 확장 이전하고 이전의 임시적인 성격을 벗어 일본의 정규적인 교육 체제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본의 교육법령에 맞는 수준의 교육 기관은 아니었다. 이후 1880년(고종 17) 7월에 영사 근등진서(近藤眞鋤)에게 서정, 현재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지역에 위치하고 있던 영사관의 관사를 불하받고 기부금 586엔을 모집하여 수리 개축하고 수제학교(修齊學校)로 개칭하였다. 일본의 교육법령에 준하는 소학교 체제를 이때 갖추게 되었다.

1888년(고종 25) 7월 서정에 교사를 신축하기로 하고 임시로 묘각사 협약사(妙覺寺協約社)를 빌려 교실로 사용하였다. 1888년 12월에 새로운 교사를 준공하고 수제학교와 여아학교(女兒學校)[1885년(고종 22) 개교, 동본원사 부산별원 경영]를 통합하여 부산공립소학교(釜山共立小學校)로 개칭하였다. 1889년(고종 26) 일본 소학교령에 의거하여 교칙을 변경하여 심상 및 고등과의 수업 연한을 각 4년 과정으로 하고, 경비의 전부를 거류민이 부담하는 것으로 하였다. 1895년(고종 32)에는 부산공립소학교(釜山公立小學校)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00년(고종 37) 개정 소학교령 및 동 시행 규칙에 의거하여 설비를 갖추고 학제를 개편하여 고등과[수학 연원 3년] 5개, 심상과 7개, 보습과[수학 연원 남자 3년, 여자 2년]를 설치하였다. 1901년(고종 38) 3월 소학교령 실시 규칙의 설비 준칙 규정에 의거하여 교사를 대청정에 신축하였다. 1902년(고종 39) 10월 대청정으로 이전하였다. 1904년(고종 41) 12월 화재로 전소하자 1905년(고종 42) 4월 거류민 회의 결의로 공사비 3만 8000여 엔으로 교사를 신축하였다. 같은 해 4월 4일에 분교로 부산공립소학교 초량분교를 두었다. 1906년(고종 43) 1월에 신축 교사를 준공하였다. 그해 4월에 부산공립심상소학교(釜山公立尋常小學校)로 교명을 변경하고, 고등 과정인 부산공립고등소학교를 분리시켜 심상 및 고등 과정을 분리하였다.

1907년(순종 1) 1월에 통감부 지정 학교가 되었으며, 1908년(순종 2) 1월에 목도(牧島)[현 영도] 영선정에 분교를 설치하였다[1910년(순종 4) 4월 분리]. 그해 4월에 부산거류민단립부산심상소학교(釜山居留民團立釜山尋常小學校)로 교명을 변경하고 수업 연한을 6년으로 변경하였다. 1912년 4월 1일에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釜山第1公立尋常小學校)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46년 3월 31일에 남일국민학교로 이어졌다. 1998년 9월 1일에 부산제7공립심상소학교의 후신인 동광초등학교와 통합하여 현재 중구에 위치한 광일초등학교로 되어 있다. 위치도 광일초등학교 자리이다.

[교육 활동]

부산공립소학교 초창기인 전관 거류지 시기에는 독서, 산수, 습자 등 세 과목을 교육하였다. 1872년(고종 9) 일본에서 반포된 ‘학제’에 의하면 부산공립소학교격인 심상소학은 상등과 하등으로 과정을 나누고 각 수업 연한을 4년과 8년으로 정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879년에 이러한 과정이 폐지되고 공립 소학교를 설치하는 ‘교육령’이 반포되었다. 부산공립소학교가 수제학교에서 공립 소학교로 개칭된 것이 1888년이므로 일본의 교육령이 다소 늦게 조선의 일본인 학교에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학교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황]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는 2013년 현재 광일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