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887
한자 釜山第-公立尋常小學校
영어의미역 Busan No. 4 Public Simsang Prim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대로 98[영선동 2가 179-1] 동부산 아이존빌 아파트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가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초등 교육 기관
개교 시기/일시 1908년 1월 9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심상소학교 분교로 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5년 8월 15일연표보기 - 폐교
개칭 시기/일시 1910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심상소학교 분교에서 부산거류민단립 목도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12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거류민단립 목도심상소학교에서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2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에서 부산제4공립심상고등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1년 3월연표보기 - 부산제4공립심상고등소학교에서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로 다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산공립심상소학교 분교 -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2가 179-1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에 있었던 공립 일본인 교육 기관.

[변천]

1907년 부산거류민회에서 목도(牧島)에 부산공립심상소학교 분교 설립을 결의하면서 1908년 1월 9일 개교하였다. 이후 독립하여 부산거류민단립 목도심상소학교[1910년 4월]로 개칭하였으며, 이어서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1912], 부산제4공립심상고등소학교[1922] 등의 명칭 변경을 거쳐,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1931]로 확정되었다. 1931년 4월 부산 제1특별경제로 이관하였으며, 1932년 5월 25일 개축 교사를 낙성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패망으로 폐교되었다.

각 연도별 학급 수, 교원 수, 학생 수는 1908년 설립 학생 90여 명, 1910년 학생 200여 명, 1912년 남학생 155명·여학생 119명, 1914년 남학생 165명·여학생 157명, 1920년 교원 11명·남학생 240명·여학생 216명, 1922년 교원 14명·남학생 281명·여학생 254명, 1923년 교원 15명·남학생 316명·여학생 284명, 1924년 교원 15명·남학생 324명·여학생 288명, 1927년 교원 16명·남학생 301명·여학생 265명, 1928년 교원 16명·남학생 324명·여학생 272명, 1929년 학급 14개·교원 16명·남학생 334명·여학생 308명, 1930년 학급 14개·교원 16명·남학생 358명·여학생 313명, 1931년 학급 14개·교원 16명·남학생 358명·여학생 298명, 1933년 학급 12개·교원 14명·남학생 335명·여학생 323명, 1934년 학급 12개·교원 14명·남학생 337명·여학생 306명, 1936년 학급 13개·교원 15명·남학생 370명·여학생 330명이었다.

[교육 활동]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는 부산부 목도[현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거주하는 일본인 아동을 위하여 초등 교육을 실시하였다. 역대 교장을 역임한 이들은 암진등일(岩津藤一)[1910~1913], 수도웅상(手島雄象)[1913~1917], 중촌청차랑(中村晴次郞)[1917~1918], 목판직일(木坂直一)[1918~1921], 중산준지조(中山準之助)[1921~1923], 복부수(服部守)[1923~1926], 송포암차랑(松浦岩次郞)[1926~1930], 정상겸치(井上謙治)[1930년 2월 취임]등이었다.

[현황]

부산제4공립심상소학교가 폐교된 터에는 근래까지 영선초등학교가 자리 잡고 있었으나 2002년 폐교되었고, 현재 영선 동부산아이존빌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