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902
한자 辛澳
영어음역 Sin O
이칭/별칭 의경(猗卿),월천(月泉)
분야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동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학자
성별
본관 영월(寧月)
출생 시기/일시 1714년연표보기 - 출생
몰년 시기/일시 1786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신오 출생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
사당|배향지 다산정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방곡리지도보기

[정의]

조선 후기 기장현 출신의 유학자.

[가계]

본관은 영월(寧月). 자는 의경(猗卿), 호는 월천(月泉). 임진왜란 때 부산진성에서 정발(鄭撥) 장군을 도운 신옥(辛沃)신기운(辛起雲)의 후손이다. 신옥은 기장현 입향조이다.

[활동 사항]

신오(辛澳)[1714~1786]는 기장군 기장읍 교리에서 태어났다. 기장의 이름난 유학자로 알려진 신오용산재(龍山齋)에서 유생들을 가르쳤고, 생가 아래에는 호를 딴 것으로 보이는 ‘달구네 샘’이라는 우물 터가 있다. 신오는 「시랑대 기행문(侍郞臺紀行文)」 및 「죽도(竹島)」 등 많은 시문과 기행문을 남겼다. 조선 후기의 기장군 선비들이 성금을 모아 자제들의 교학을 위한 서당으로 설립한 옥천재(玉泉齋)의 기문(記文)을 남기기도 하였다.

[학문과 저술]

신오간옹(艮翁) 권적(權적(示+啇)[1675~1755]이 기장 현감으로 좌천되어 왔을 때 그 문하에 들어가 수업하였다. 저술에는 『월천 일고(月泉逸稿)』가 있다. 『월천 일고』는 일제 강점기 때인 1940년 1월 15일에 발행되어 후손이 보관하고 있다. 권지일(卷之一)에는 「월천정」, 「차시랑 대운」, 「월천정 팔경」을 비롯하여 모두 21수의 시가 실려 있고 소 1편, 서 32편, 잡저 3편, 논 2편, 서 2편, 기 4편이 있다. 그리고 2편의 발과 1편의 잠, 그리고 2편의 명, 2편의 제문, 2편의 상량문이 실려 있다. 권지이(卷之二)에는 부록으로 기증과 「월천정 제영 서술」을 비롯하여 모두 14편이 실려 있다.

[상훈과 추모]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에 소재한 다산정(茶山亭)신옥, 신기운과 함께 신위가 모셔져 있다. 현재 송정의 앞바다 옆에 죽도가 있는데, 이곳에 신오의 시 「죽도」를 새긴 비석이 아주 잘 만들어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