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040
한자 城隍祠-
영어의미역 Site of Seopyeongse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윤용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당 터
소재지 성황사 터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정의]

조선 시대 동래부의 증산 아래에 있던 성황신을 모신 사당 터.

[개설]

성황 신앙의 내력은 고려 문종 때 신성진(新城鎭)에 성황(城隍) 신사(神祠)를 설치하여 위엄 있게 숭배하였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수호신으로서의 성황은 조선 시대에도 널리 신앙되었다. 성황은 마을 수호신을 지칭하며 서낭이라고도 한다.

조선 초부터 종래의 음사(淫祀)를 대신하여 동래현에 사직단(社稷壇)·성황사(城隍祠)·여단(厲壇)이 설치되었고, 이외에 절영도 신사(絶影島神社)·모등변 신사(毛等邊神社)·고지도 신사(古智島神社) 등의 산천단(山川壇)이 설치되어 사전(祀典)에 입각한 제례를 확립해 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동래현의 성황사는 “현의 동쪽 2리[약 0.79㎞]에 있었다[在縣東二里].”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증산(甑山)은 동래부에서 동쪽 2리 떨어져 있으며, 위에 장대(將臺)가 있고, 아래에 성황사가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위치]

성황사 터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증산 아래에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