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진구 하마정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897
한자 釜山鎭區下馬停-
영어의미역 Story of Hamajeong Pavilion in Busanjin-gu
이칭/별칭 「하마비의 유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왜장|통역관
모티프유형 지명 유래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10월 28일 - 『내 사랑 부산진 그 세월의 흔적을 찾아서』에 「하마비(下馬碑)의 유래」라는 제목으로 수록
관련 지명 하마정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464-1지도보기
채록지 양정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서 하마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부산진구 하마정 이야기」는 왜장이 말을 타고 하마비(下馬碑) 앞을 지나다가 말이 요동을 치는 바람에 낙마를 하였다는 신이담이자 지명 유래담이다. 하마비는 누구든지 그곳을 지날 때는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표지석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부산진구청에서 편찬한 『내 사랑 부산진 그 세월의 흔적을 찾아서』에 「하마비(下馬碑)의 유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채록자와 채록 일시는 분명하지 않다.

[내용]

부산진구 양정에 하마비가 있었는데, 모든 사람들이 그곳을 지날 때마다 말에서 내려 예를 표했다. 임진왜란 때 왜장이 말을 타고 하마비 앞을 지나려고 하는데 말이 요동을 치는 바람에 낙마를 하게 되었다. 왜장이 다시 말을 타려고 했는데 도무지 말에 오를 수가 없었다. 통역관에게 그 까닭을 물으니, 이곳에 정문도(鄭文道) 공의 묘소가 있어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야 한다고 대답했다. 그 말을 들은 왜장은 예의를 갖추고 말에서 내려 걸어갔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부산진구 하마정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지명 유래’이다. 양정의 화지산(華池山)에는 동래 정씨 2세조 정문도의 묘소[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464-1번지]가 있으며, 그 입구에는 예를 표하라는 표식으로 하마비가 서 있다. 이곳을 하마정이라고도 한다. 「부산진구 하마정 이야기」는 임진왜란 당시 왜장이 말에서 내리지 않으면 그 앞을 지날 수 없었다는 ‘하마정’이라는 지명과 관련한 전설이다. 「부산진구 하마정 이야기」를 통하여 양정동 주민이 하마비가 서 있는 정문도의 묘소 입구를 신성한 장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