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반송동 출토 돌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659
한자 盤松洞出土-
영어의미역 Stone Dagger Excavated in Bansong-dong
이칭/별칭 반송동 출토 마제 석검(盤松洞出土磨製石劍),반송동 출토 석검(盤松洞出土石劍)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동진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석검|돌칼
재질
크기 16.4㎝[길이]|5.3㎝[손잡이 폭]|0.8㎝[두께]
출토|발굴 시기/일시 1978년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서 발견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출토|발견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의 돌칼.

[개설]

반송동 출토 돌칼[盤松洞出土石劍]은 1978년에 출토되었으며, 현재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확한 출토 상황은 알 수 없으나 고인돌 돌널무덤[석관 묘] 출토품으로 생각된다. 부산 지역에서 출토된 간 돌칼[磨製石劍]은 주로 점판암과 혈암으로 만들어지며,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석기이다. 손잡이[柄部]의 유무에 따라 유병식(有柄式)[칼날 부분과 손잡이가 함께 만들어진 것]과 유경식(有莖式)[칼날과 그 끝에 화살촉처럼 슴베가 만들어져 나무로 된 손잡이를 별도로 제작하여 끼워 사용]으로 구분되며, 이 가운데 유병식은 다시 손잡이의 형태에 따라 일단병식(一段柄式)과 이단병식(二段柄式)으로, 유경식은 경부(莖部)의 길이에 의하여 단경식과 장경식으로 분류된다. 단경식은 돌칼[石劍]으로 인정되지만 장경식은 결박력을 높이기 위해 길게 한 것으로 보아 석창(石槍)으로 판단되는 경우도 있다.

[형태]

반송동 출토 돌칼의 크기는 길이가 16.4㎝, 손잡이 폭이 5.3㎝, 두께가 0.8㎝이다. 점판암으로 만들어졌으며, 흑색과 회백색으로 상호 층리를 이루고 있는 일단병식 돌칼이다. 몸통 부분 및 칼끝 부분이 결실되었으며, 심부(鐔部)[칼과 손잡이 부분을 가르는 테]와 손잡이 윗부분의 양쪽 끝은 절단되어 떨어져 나갔다. 몸통 부분의 단면은 마름모꼴에 가까운 렌즈 형이고, 손잡이 부분은 중앙 부분을 마연하여 모서리를 없앴다. 손잡이 부분의 단면은 렌즈 형에 가까운 편육각형을 띤다.

[특징]

심부와 손잡이 윗부분의 양쪽 끝이 잘려 나가 정확하진 않지만, 심부의 폭이 손잡이 윗부분의 폭보다 좀 더 넓다.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인 형태와는 차이가 있어 재가공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반송동 출토 돌칼은 재질이나 제작 기법이 사직동 유적 출토 돌칼과 매우 유사하여 두 집단이 제작 기술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