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257 |
---|---|
한자 | 金井中學校歷史館 |
영어의미역 | History Hall at Geumjeong Middle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종교/불교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 38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현익채 |
[정의]
2006년 9월 30일 금정중학교 중앙 현관에 개관한 금정중학교 역사관.
[건립 경위]
2004년 2월 9일 금정중학교 역사관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3월 31일 부산광역시 설동근 교육감으로부터 역사관 건립 예산 4000만 원 지원 약속을 받아 2004년 12월 22일 금정중학교 역사관을 개관하였다.
[변천]
2004년 12월 개관했으며 개관 당시에는 3·1 운동 유공자의 유물인 고서적, 각종 증서, 조형물, 가사와 금정을 빛낸 인물의 유물과 학교 앨범, 학교 내규, 교지, 사진 등 250여 점을 전시하였다. 금정중학교 역사관의 벽면에는 1906년 개교부터 현재까지의 학교 역사를 시대별로 설명한 12개의 패널로 제작하여 전시하였다.
2006년 9월 30일 『금정중학교 100년사』 출판 기념회를 열었으며 2007년 9월 7일 금정중학교 역사관에 소장된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瞳子陀羅尼經)』이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다. 2007년 11월 27일 현익채 교장을 비롯한 배한욱, 김경만, 김화선 선생이 편집한 금정중학교 역사관 소장 유물과 금정중학교 100년 화보집을 정리한 『백년의 숨결 천년의 향기』 출판 기념회를 개최하였다. 2011년 4월 금정중학교 다목적 강당 내에 명정 박물관이 별도로 개관함에 따라 두 개의 전시 공간 특색을 살리면서 차별화를 시도하여 3·1 운동 유공자 관련 자료는 명정 박물관에 집중 전시하고, 금정중학교 역사관에는 교육 변천 자료와 금정을 빛낸 인물의 유물 등으로 전시하였다.
[구성]
벽면은 금정중학교 100년의 변천사를 12개 패널로 전시하고 있으며 전시 공간은 설립자인 성월 선사의 유물과 동광 선사의 유물,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의 교육 변천 자료, 각종 문서, 앨범, 교육 계획서, 사진, 토기 등 326점을 전시하고 있다. 금정을 빛낸 인물인 승려 오성월(吳惺月)의 유물로는 ‘조선불교 선종 중앙종무원장 당선증’[1935년], 성월의 승적첩[1934년], 1918년 범어사 소작 토지를 간평한 간평세기 등이 전시되어 있다. 3·1 운동 유공자인 동광 선사의 유물로는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76호인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400년 전에 간행된 『법집별행록절요(法集別行錄節要)』, 『결수문(結手文)』,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백용성(白龍城) 스님이 동광 선사에게 전법게를 내린 친필 액자 등 역사적으로 귀중한 유물이 다수 전시되어 있다.
또한 강석주(姜昔珠) 스님의 유물인 1940년 이후 사용했던 대가사, 안경, 염주 등과 부산시 교육감을 역임한 이윤근 선생의 유물인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과 같은 초간 후쇄본인 『동의보감(東醫寶鑑)』, ‘범어사 불교 전문 강원 수료증’[1938년]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내무부 장관을 역임한 양찬우(楊燦宇) 장관의 유물인 내무부 장관과 국회 의원의 명패 등과 4·19 민주 투사인 신정륭(辛政隆) 열사의 건국 포장증과 훈장 등도 전시되어 있다. 그 외에 교육 변천 자료로 명정학교 학적부부터 일제 강점기 시절의 통지표, 수료증, 교과서 등과 역대 졸업 앨범, 불교 활동 앨범 및 수련 대회와 교지, 학교 일지 등도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