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831
한자 金希壽墓
영어의미역 Tomb of Gimheuisu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98-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심민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양식 원형 봉토분
관련인물 김희수(金希壽)[?~1592]
봉분크기/묘역면적 4m[봉분 지름]
소유자 개인
관리자 개인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동래성 전투에서 전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 신위를 모신 선황사 건립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98-2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에 있는 조선 후기 임진왜란 공신 김희수(金希壽)의 묘.

[개설]

김희수[?~1592]는 자는 운손(雲遜)이고, 호는 지곡(池谷)이다. 김해 김씨(金海金氏) 경파(京派)의 중시조 김녕군 김목경(金牧卿)의 10세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이었는데, 1592년(선조 25) 4월 15일 임진왜란 때 동래성 전투에서 부사 송상현(宋象賢)과 함께 끝까지 항전하다 전사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봉훈랑(奉訓郞) 군자감 판관으로 추증되었다.

[위치]

김희수 묘(金希壽墓)는 해운대 우동 못안 마을의 뒷산인 선황봉 못안골에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98-2번지이다.

[변천]

1994년에 김희수의 신위를 모신 사당인 선황사(先篁祠)를 조성한 뒤 묘역을 성역화하였다.

[형태]

묘는 상석(床石)과 향로석을 갖춘 원형 봉토분이며, 봉분은 지름 4m 내외이다. 비석은 가첨석(加檐石) 없이 비신(碑身)과 대석(臺石)만 있다. 비신의 크기는 높이 116㎝, 너비 42㎝, 두께 26㎝이다.

[금석문]

비에는 ‘선무 원종공신 증군자감판관 김해김공휘희수지묘(宣武原從功臣 贈軍資監判官 金海金公諱希壽之墓)’라고 적혀 있다.

[현황]

김해 김씨 경파의 해운대 문중에서 선황사에서 매년 음력 3월과 10월 둘째 일요일에 향사(享祀)를 올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김희수 묘가 있는 못안골은 김해 김씨가 임진왜란을 피해 이주하여 살던 곳으로, 임진왜란 당시 전란을 피해 모여들어 동족 마을을 형성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