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857 |
---|---|
한자 | 先篁祠 |
영어의미역 | Seonhwangsa Shrine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산98-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정형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에 있는 임진왜란의 공신인 김희수(金希壽)의 사당.
[개설]
선황사(先篁祠)는 임진왜란 때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의 비장(裨將)으로서 동래읍성(東萊邑城) 전투에서 힘껏 싸우다가 순절한 지곡(池谷) 김희수[1558~1592]의 사당이다. 김희수는 무과 출신은 아니지만 동래부(東萊府) 백성들의 추천에 의해 비장이 되었으며, 동래읍성을 빼앗기기 바로 전에 동래 부사 송상현의 주변에 있다가 적들이 앞으로 다가오자 격렬한 싸움 끝에 순절하였다. 임진왜란 후 나라에서는 김희수를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기록하고 17세기에 건립된 농주산 전망 제단(弄珠山戰亡祭壇)에 모셨으며, 1709년(숙종 35)에는 충렬 별사(忠烈別祠)에도 모셔졌다.
[위치]
선황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산98-2번지, 장산 선황등(先篁嶝) 아래의 묘소 옆 명당에 위치한다.
[변천]
일제 강점기에도 10㎡ 정도의 이름 없는 사당이 존재하였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선황사는 조선 후기부터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문중 어른들이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이름 없는 사당은 오랜 비바람으로 허물어졌다거나 불에 탔다는 등 없어진 까닭이 정확하지 않다. 이후 후손과 유림들의 추모가 이어져 후손들이 추모 사업 추진 위원회를 구성하고, 1994년 4월에 출입문인 유열문(由烈門)과 담장을 단장함과 아울러 현재의 선황사[33㎡]를 건립하였다. 1995년 12월에는 유림의 주관으로 신위 봉안을 거행하였다.
[형태]
화강석으로 만든 8각의 장대석 기단 위에 나무로 만든 팔각형의 1층 기와집이다. 지붕 역시 팔각형의 모임지붕으로 된 특이한 형태의 사당이다.
[현황]
현재 선황사의 소유자는 김해 김씨(金海金氏) 목경파 신중좌파 종중회 및 신건좌파 종중회이다. 소유자를 대표하여 김해 김씨 목경파 우동 문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해마다 음력 10월 첫째 일요일 정오에 묘소에서 향사(享祀)를 받들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선황사는 해운대 호국 정신의 요람지로서, 많은 참배객들이 찾아와 나라와 향토를 지키다가 순절한 김희수와 임진왜란의 의미를 되새기는 새로운 성지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