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붕 안 갈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364
영어의미역 Declining to Rearrange Roof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조수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10월 패일|화일

[정의]

부산 지역에서 시월 패일(敗日)[5, 14, 23일]이나 화일(火日)에 지붕갈이를 하지 않는 풍습.

[개설]

지붕 안 갈기는 시월 패일이나 화일에 지붕을 갈면 화재가 나거나 지붕에 벌레가 많이 생긴다 하여, 이들 날에는 지붕갈이를 하지 않는다는 풍속이다. 패일은 액이 있고 불길한 날이라 하여 밖에 다니는 것을 삼갔으므로 이날은 대개 집에서 근신하였고, 부정한 것을 보거나 접하는 것을 꺼렸다.

[절차]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학리·청광리·동백리, 정관읍 예림리·용수리, 장안읍 오리 대룡 마을, 철마면 연구리, 기장읍 내리 등에서는 시월에 불가피하게 지붕을 갈았다면 화재를 막기 위해 지붕 가는 사람이 지붕을 간 뒤 용마름에 오줌을 누고 내려온다. 특히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에서는 지붕을 간 사람이 왼손으로 왼쪽 바지를 걷어 올려 왼손으로 남근을 잡고 지붕에 오줌을 눈다.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서는 시월 초하룻날을 피하여 지붕갈이를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패일은 액이 있고 불길한 날이라 해서 매사를 삼가는데, 매달 5, 14, 23일을 삼패일(三敗日)이라 한다. 그리고 화일은 오행으로 10간의 배열[갑을(甲乙)은 목(木), 병정(丙丁)은 화(火), 무기(戊己)는 토(土), 경신(庚辛)은 금(金), 임계(壬癸)는 수(水)]과 12지의 배열[인묘(寅卯)는 목, 사오(巳午)는 화, 신유(申酉)는 금, 해자(亥子)는 수, 축진미술(丑辰未戌)은 토]에서 화가 겹치는 일진이 패일이니, 곧 병오(丙午), 정사(丁巳)의 일진이 화일일 것으로 추정된다. 화일에 지붕을 이면 불이 난다는 것은 ‘화(火)’에 이끌린 속설일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