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136
한자 靑銅器時代-
영어의미역 Tombs of the Bronze Ag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배진성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확인된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돌널무덤, 독무덤.

[개설]

부산 지역의 청동기 시대 무덤으로는 주로 지표 조사 및 공사 중에 발견된 고인돌[지석묘]과 돌널무덤[석관묘(石棺墓)]이 많다. 고인돌은 강서구 미음동·천성동 가덕도, 금정구 장전동, 사하구 감천동에서 발견되었다. 모두 정식 발굴 조사는 아니지만 고인돌의 상징인 큰 상석(上石)이 지표에서 확인되어 부산 지역 청동기 시대 고인돌의 존재를 알 수 있게 되었다. 감천동 고인돌은 화력 발전소 건설 및 도로 공사로 인해 알려지게 되었으며, 모두 여섯 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가덕도 두문 고인돌은 해안가에 인접한 천성동 두문 마을에 한 기가 위치하고 있다.

부산 지역의 돌널무덤은 금정구 두구동·부곡동, 동래구 사직동, 사하구 괴정2동, 서구 동대신동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동래구 낙민동의 유적에서는 토기를 관(棺)으로 사용한 독무덤[옹관묘(甕棺墓)]도 확인되었다.

[특징 및 의의]

감천동 고인돌은 모두 여섯 기인데, 발견자에 의하면 냇돌로 무덤방의 벽면을 만들었고 바닥에 자갈이 깔려 있었으며 상석과 그 받침돌인 지석(支石)도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바둑판식 고인돌[기반식 지석묘, 남방식 지석묘]로 추정된다. 금정구 장전동강서구 미음동의 고인돌은 상석 아래 지석 없이 무덤방[매장 주체부]이 있는 개석식(蓋石式) 고인돌이다. 가덕도 두문 고인돌감천동 고인돌과 함께 해안가에 인접하고 있어 지역적인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다음으로 돌널무덤을 보면, 괴정2동의 사례는 작은 할석(割石)으로 벽을 쌓고 바닥에는 편평한 판석(板石)을 깐 것이다. 그러나 발견 당시 이미 상당 부분이 파괴된 상태여서 상석이 있는 고인돌의 하부 구조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직동 돌널무덤은 네 벽과 뚜껑돌이 각 한 장의 넓은 판석으로 이루어졌고, 바닥에는 자갈돌이 깔린 구조이다. 대신동 유적에서도 1934년에 상자 모양의 돌널무덤이 발견되었는데, 현재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가 있는 곳이다. 금정구 부곡동에서도 일제 강점기 때에 상자 모양의 돌널무덤이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이에 비해 임석 유적의 돌널무덤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의해 정식으로 발굴 조사된 사례이다. 할석으로 네 벽면을 축조하고, 바닥에는 3~10㎝ 크기의 자갈을 깔았는데 이 부분에 목관(木棺)을 놓았을 가능성이 높다. 목관과 무덤구덩이[묘광(墓壙)] 사이에는 돌과 흙을 채웠으며, 바닥에서 35㎝ 정도 위의 벽석(壁石)이 안쪽으로 약간 들어와 있는데, 이것으로 목관의 높이를 알 수 있다. 석관 위에는 30~70㎝ 정도 크기의 돌이 한두 벌 깔렸으며, 그 일부는 석관 내부로 함몰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원래 돌널무덤 위에 나무 뚜껑을 덮고 그 위에 다시 돌을 덮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래구 낙민동 독무덤은 네 기가 발견되었으며, 토기 두 점의 아가리 부분[구연부(口緣部)]을 맞댄 이른바 합구식 옹관(合口式甕棺)이다. 옹관으로 사용한 토기 가운데에는 붉은 간 토기도 있으며, 괴정1동 유적·괴정2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와도 유사하여 부산 지역에서 만들어진 토기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고인돌, 돌널무덤, 독무덤과는 다른 형태의 청동기 시대 무덤도 있다. 무덤구덩이를 판 후 네 벽에 돌을 쌓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거나 목관을 안치하기도 하는 움무덤[토광묘(土壙墓)], 무덤 주위에 직사각형 혹은 원형의 도랑을 돌린 주구묘(周溝墓), 무덤 주위의 일정 공간에 돌을 깔아서 묘역(墓域)을 만든 구획묘(區劃墓) 등이 다른 지역에서 조사되고 있지만, 아직 부산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도시화에 의해 이미 유적이 소멸되었거나 지하에 있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 각종 건설 공사에 앞서 매장 문화재에 대한 철저한 사전 조사가 이루어져야만 부산 지역 청동기 시대 무덤의 정확한 구조와 다양성이 밝혀질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