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589 |
---|---|
한자 | 釜山鐵道車輛整備廠內機械施設-客車鋼板作業場 |
영어의미역 | Machine Facilities and Passenger Car Steel Sheet Workspace at Busan Railroad Car Maintenance Depot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865-3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홍순연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철도 차량 정비창 내의 기계 시설 및 객차 강판 작업장.
[개설]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釜山鐵道車輛整備廠)은 1904년(고종 41)에 발족하여 100여 년의 세월을 훌쩍 넘겼으니 한국 철도의 산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04년 2월 1일 초량 기계 공장으로 태동하여 광복 전까지는 일본인의 손으로 운영되었다. 이후 1930년 7월 31일 부산시 동구 초량동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933년에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객차 대차 작업장(釜山鐵道車輛整備廠內客車臺車作業場)을 건립하였다.
1948년에는 교통부 부산 공작창으로 개칭하였는데, 이 때문에 아직도 ‘철도 공작창(鐵道工作廠)’으로 불리고 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명칭이 바뀌었는데, 1963년에 철도청 부산 공작창, 1984년에 철도청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2004년에 철도청 부산 철도 차량 관리단, 2006년에 한국철도공사 부산 철도 차량 관리단으로 변경되었고, 2009년 9월에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으로 바뀌었다.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에는 등록 문화재 제416호로 지정된 디젤 전기 기관차 2001호가 소장되어 있다.
[위치]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기계 시설 및 객차 강판 작업장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865-3번지에 위치한다. 부산진구 범천동 1210번지의 약 20만 1401.65㎡[약 6만 924평]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 내에 자리하고 있다. 정문은 신천 대로[부암 사거리에서 문전 교차로 사이]에 있다.
[변천]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기계 시설 및 객차 강판 작업장은 1930년 7월 31일에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의 기계 작업 및 강판 작업장으로 건립되었다.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이 동구 초량동의 기지창에서 현 위치로 이전할 당시 건설되었다.
[형태]
대지 면적 2,194㎡의 지상 1층 건물이다. 주변의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객차 대차 작업장,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객차 도장 작업장(釜山鐵道車輛整備廠內客車塗裝作業場),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경리 1 창고(釜山鐵道車輛整備廠內經理一倉庫) 등과 규모가 비슷하다. 현재는 구관과 신관이 같은 형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지붕의 철골 트러스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특히 맨사드 형태[사다리 모양으로 꺾인 지붕]로, 철골조에 칼라 강판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면부의 개구부는 가로 4칸, 세로 4칸의 그리드 창[격자창]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각각 3·4·2·1개의 각기 다른 출입문이 나 있다. 지붕의 최상부에는 환기 시설을 위해 긴 띠형의 천창이 놓여 있고, 약 3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건물의 외관상 4동의 건축물로 보이나, 내부는 1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황]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기계 시설 및 객차 강판 작업장의 소유자는 한국철도공사이며, 관리자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산 철도 차량 정비단이다. 기계 작업과 강판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기계 작업으로는 고속 회전 기계[전동기, 터빈 등과 같이 회전축 주위를 회전 운동하는 기계]를 조작·취급하여 차량 용품을 제작 또는 수리하는 작업과 철도 용품·통신 신호기·전기 기기 등을 제작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강판 작업은 얇은 판 형태로 된 강판을 이용하여 비바람에 노출이 많은 철도 차량을 보수 및 수리하는 작업을 말한다.
[의의와 평가]
부산 철도 차량 정비창 내 기계 시설 및 객차 강판 작업장의 맨사드 형태의 긴 천창형 철골조는 일반적인 공장 건축에서 찾아보기 힘든 양식으로서, 건축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