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351
한자 梵魚寺山靈閣
영어의미역 Sanryeonggak at Beomeosa Temple
이칭/별칭 범어사 산신각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연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각|산령각
양식 맞배지붕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1칸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개축|증축 시기/일시 1905년경연표보기 - 개축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산령각.

[위치]

범어사 산령각(梵魚寺山靈閣)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梵魚寺大雄殿)[보물 제434호]과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八相·獨聖·羅漢殿)[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63호] 사이의 범어사 지장전(梵魚寺地藏殿) 뒤편에 위치한다.

[변천]

범어사 산령각이 처음 건립된 시기에 대해서는 전하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05년(고종 42)에 개축되었다.

[형태]

건물 양식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소규모 건물에 맞게 간략한 주심포식 가구에 일출목(一出目)을 내고 겹처마의 맞배지붕을 얹었다. 어간(御間)에는 삼분합, 좌우 협간에는 이분합의 빗살문을 달았다. 대체로 가구 수법이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과 흡사한 건축물이다.

[현황]

범어사 산령각은 소규모 건물로서, 현재 내부에는 가람 터와 산악을 수호하는 산신상(山神像)과 호상(虎像)이 봉안되어 있다. 산신은 말 그대로 산의 주인으로서 불교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한국 불교가 재래의 토속 신앙을 수용하면서 불교화한 독특한 존재이다. 위치도 가람의 가장 뒤쪽에 자리하여 불제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맡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