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31
한자 千萬里潁陽千公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General Cheon Manri
이칭/별칭 총독장 화산군 영양 천공지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범일동 590-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현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공덕비
관련인물 천만리(千萬里)[1583~?]
재질
크기 264㎝[높이]|99㎝[너비]|31㎝[두께]
관리자 부산광역시 동구청
보수|복원 시기/일시 1947년 3월연표보기 - 재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83년연표보기 - 천만리 출생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590-5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조선 후기 천만리(千萬里)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천만리[1583~?]는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명나라에서 건너와 평양·울산 전투 등에 참전하여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천만리 영양천공비(千萬里潁陽千公碑)천만리의 귀화 후손인 영양 천씨(潁陽千氏)들이 천만리의 공덕을 기려 1947년 3월에 새로 세웠다.

[위치]

천만리 영양천공비자성대(子城臺) 정상의 진남대(鎭南臺) 복원 건물 왼편에 자리 잡고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590-5번지이다.

[형태]

하나의 돌에 이수(螭首)와 비신(碑身)을 함께 묶었고, 자연스럽게 이수 문양을 새겨 넣었다. 그 아래에 양 191×29㎝, 음 161×44.5㎝의 크기로 제액과 유기(遺記)를 새겼다. 비의 크기는 높이 264㎝, 너비 99㎝, 두께 31㎝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총독장 화산군 영양 천공지비(摠督將花山君潁陽千公之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공의 이름은 만리(萬里)이고, 호는 사암(思庵)이며, 시호는 충장(忠莊)공이다. 시조는 중국 판도승상 암(岩)의 □대 후손이다. 임진왜란 때 총독으로 오군을 이끌고 조병영양사(調兵領糧使)로서 명을 받아 동쪽으로 와서 조선을 구원하였다. 세 번 싸워서 세 번 모두 이겨서 평양에 머물렀으며, 그 공로로 자헌대부 봉조하(奉朝賀)가 되었고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 개선해 돌아오던 날에 온 나라의 관민들이 공덕을 길이 추모하여 부산 자성대에 비석을 세웠다.

그러나 세월이 오래되어 묻혀 버렸으며, 이끼가 끼고 글자가 부셔졌다. 뜻하지 않게 몇 년 전에는 일본군들이 비석을 철거하였으니, 아! 우리 후손들은 슬픔을 이길 수 없어 옛날을 추모하여 새롭게 비석을 세운다. 단기 사천이백팔십 년 정해 삼월 삼일 경진 기준 기열 봉의 형식 명와 영화 기조 상경 응진 치만 윤억 유홍 민섭[公諱萬里 號思庵 諡忠莊公 肇祖中華版圖丞相公 諱岩□代孫也 去壬辰 以摠督 將五軍 帥調兵 領糧使 奉命東征 來救朝鮮 三戰三捷 仍留箕城 策勳資憲大夫 奉朝賀 封花山君 凱還之日 擧國官民 永慕功德 立石于釜山子城坮 歲久湮沒 苔蝕篆泐 不意前年 枉被倭兵拔去 嗟我後孫輩 不勝憾愴 追古增新 檀紀 四千二百八十年 丁亥 三月三日 慶鎭 琪準 基烈 鳳儀 亨植 明窩 英華 基祚 尙卿 應鎭 致萬 潤億 有洪 敏燮]”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비석의 좌측면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 자성대 공원 안에 있어 시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부산광역시 동구청에서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천만리 영양천공비를 통해 임진왜란 때 조선을 지키기 위하여 명에서 건너온 천만리의 이력과 이를 기리기 위한 후손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