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오영석 애민구해불망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11
한자 吳榮錫愛民救海不忘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Cherishing O Yeongseok’s Effort to Save the Sea
이칭/별칭 행현감 오공영석 애민구해불망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광로 63[삼성리 200-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훈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오영석(吳榮錫)
크기 102㎝[높이]|36㎝[너비]|14㎝[두께]
건립 시기/일시 1893년연표보기 -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92년 10월연표보기 - 오영석 기장 현감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94년 9월연표보기 - 오영석 기장 현감 퇴임
현 소재지 세룡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200-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에 있는 개항기 기장 현감 오영석(吳榮錫)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1892년(고종 29) 10월부터 1894년(고종 31) 9월까지 기장 현감에 재직한 오영석의 애민 활동을 기리기 위해 1893년(고종 30) 세웠다.오영석의 본관은 보성(寶城)이다.

[위치]

오영석 애민구해불망비(吳榮錫愛民救海不忘碑)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200-1번지 세룡암 오른쪽 아래 소나무 숲에 있다.

[형태]

바위로 된 대석(臺石)이 있고 이수(螭首)는 없다. 전면과 후면에 해서체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02㎝, 너비 36㎝, 두께 14㎝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행현감 오공영석 애민 구해 불망비(行縣監吳公榮錫愛民捄(救?)海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모현 땅 꿩들이 순하게 길들 듯/ 조주 지방 악어들이 순순히 물러나듯/ 한 조각 곧게 뻗은 옥 같은 돌 비석/ 오랜 세월 지나도 흐려지지 않으리[牟縣雉馴 潮州鰐退 一片貞珉 千古不晦]”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계사년[1893] 7월 일 세우다. 감역 김□재·황대신, 두민 김□재[癸行巳七月 日 立 監役 金□才 黃大申 頭民 金□在]”.라고 되어 있다

[현황]

세룡암 오른쪽 아래 소나무 숲에 조성한 5기의 공덕비군 중 1기로 보호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오영석 애민구해불망비는 기장 현감으로 재직한 지방관의 행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12 본관 정보 추가 본관 정보 추가 : 보성(寶城)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