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480
한자 金井山城第二望樓
영어의미역 The Second Watchtower for Geumjeongsanse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주영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망루
양식 맞배지붕
정면칸수 2칸
측면칸수 1칸
소유자 국유
관리자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건립 시기/일시 1707년연표보기 -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망루 기둥을 교체하고, 방충 조치를 취함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8년연표보기 - 성가퀴 보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9년 - 조사된 제4 건물 터를 토대로 복원
현 소재지 금정산성 제2 망루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금정산성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제2 망루.

[개설]

『금정산성 진지도(金井山城鎭之圖)』에 의하면 망대가 본성에 10개, 중성(中城)에 2개 그려져 있다. 이들 망대는 방위별로 성벽의 모퉁이나 성벽 중간에 있는 산봉우리 가운데, 조망권이 넓고 좋은 암반이 솟아오른 지역과 일치하는 장소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금정산성 제2 망루(金井山城第二望樓)금정산성 동문(金井山城東門)에서 약 2.5㎞, 금정산성 남문(金井山城南門)에서 약 400m 되는 지점에 동쪽 끝으로 돌출한 해발 545m의 암반 위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장산과 수영 일대 그리고 동해가 보이며, 서쪽으로는 상계봉이, 남쪽으로는 백양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북쪽으로는 금정산 고당봉금정산성(金井山城)이 파노라마처럼 전개되어 있다.

[변천]

금정산성 제2 망루는 1707년(숙종 33) 동래 부사 한배하(韓配夏)가 성이 너무 넓다 하여 남북 두 구역으로 구분하는 중성을 쌓을 때 축조하였다. 이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방치되어 자연스럽게 훼손되었다가, 1979년 당시 조사된 제4 건물 터를 토대로 금정산성 제2 망루가 복원되었다. 1991년 금정산성 제2 망루의 기둥을 교체하고 방충 조치를 취하였으며, 1998년에는 성가퀴[여장(女牆)]를 보수하였다.

[형태]

면적은 11.99㎡이다.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로, 정면은 기둥 사이의 거리가 215~240㎝이고, 측면은 기둥 사이의 거리가 255㎝이다.

[현황]

현재 금정산성 제2 망루는 발굴 조사를 토대로 완전히 복원되어 조선 시대 산성의 망루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