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474 |
---|---|
한자 | 龜浦堤防水門 |
영어의미역 | Floodgate of the Bank in Gupo |
분야 | 역사/근현대,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연지 |
[정의]
1931년 구포·사상·김해 지역 사이의 동서 연안에 축조된 제방.
[건립 경위]
원래 낙동강 하류 지역의 본류는 김해군 대동과 대저 사이를 흐르는 서낙동강으로, 가락동을 지나 녹산동 쪽으로 흘렀으나, 낙동강의 대치수 사업의 일환으로 상류 쪽 대동 수문을 설치하여 강의 흐름을 구포, 사상 쪽으로 돌리면서 동서 양안(兩岸)의 강폭을 넓히고 제방을 쌓았다.
[변천]
1931년 축조하기 시작한 제방은 완공되기도 전에 1933년 8월의 2차례 홍수와 1934년 7월의 홍수로 파괴되면서 구포, 사상 쪽을 삽시간에 물바다로 만들었다. 이러한 시련 속에서 낙동강 제방은 근 5년 만에 완공을 보았고, 그 이후 1936년, 1940년, 1941년, 1956년, 1957년에 걸쳐 일어난 대홍수에도 물난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구성]
7개 수문이 구포동에 있다. 1호는 낙동강 제방을 쌓고 나서 강변 쪽으로 출입하던 수문으로 남선곡산 공장 뒤쪽에 위치해 있고, 2호는 통새미 우물[감동진 나루 강변의 남창 입구에 있던 동네 우물터]이 있던 곳의 앞에 있다. 3호는 박석골[옛날 대리천의 안쪽에서 구 시장터를 지나 서쪽 낙동강 변으로 넘어 가는 고갯길]을 너머 강변 쪽으로 가던 곳 앞에 있다. 4호는 남선곡산 공장 앞, 5호는 옛 근산병원에서 강 쪽으로 나오는 곳, 6호는 구포역 쪽에서 직통으로 나오면 보이는 곳, 7호는 낙동강 제방의 새 시장 쪽으로 들어오던 곳에 있다.
[현황]
낙동강 제방의 강둑 길은 해방 이후 시민의 산책로로서 주말이면 주변의 낚시터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휴식처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