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441 |
---|---|
한자 | 阿月驛 |
영어의미역 | Awol Stati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한정훈 |
[정의]
조선 시대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에 설치된 역참.
[제정 경위 및 목적]
조선 시대의 아월역(阿月驛)은 고려 시대 아등량역(阿等良驛)의 후신(後身)으로, 역명(驛名)만 달라졌을 뿐 예전 역의 기능은 그대로 수행하였다.
[관련 기록]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기장현에 “역이 둘인데, 아월역과 [기장] 신역이다[驛二 阿月 新驛]”라고 기록되어 있고, 『여지도서(輿地圖書)』 기장현 역원에 “아월역은 현의 북쪽 48리에 있으며, 동쪽으로 신명역까지는 30리 떨어져 있고, 남쪽으로 동래 소산역까지는 20리 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 울산 아곡역까지는 40리 떨어져 있다. 중마(中馬) 2필, 복마(卜馬) 5필, 역리(驛吏) 26명, 노비 3명이다[阿月驛 在縣北四十八里 東距新明驛三十里 南距東萊蘇山驛二十里 北距蔚山阿谷驛四十里 中馬二匹 卜馬五匹 驛吏二十六人 奴三名]”라고 되어 있다.
[내용]
기장 서북쪽 19.2㎞[48리]에 위치한 아월역은 기장현에서 양산 방면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였다.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해동 지도(海東地圖)』를 통해 기장 읍성에서 아월역까지의 옛길이 복원 가능하다. 기장 읍성 동문에서 출발하여 좌광천(佐光川) 변에 형성된 하천 길을 따라 도마현(刀馬峴)과 진현(進峴)의 고갯길을 차례로 넘어 아월역에 이르게 된다. 이곳에서 북쪽으로는 울산 방면으로, 서남쪽으로는 양산 방면으로 연결된다.
한편 18세기경 아월역에는 중마 2필·복마 5필과 역리 26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이 수치는 기장 관내(管內)의 또 다른 역인 신명역[서쪽 10리]이 중마 2필·복마 6필과 역리 73명이 배속되어 있는 것에 비하면 역리 수가 1/3의 수준이다. 당시에 기장현이 동래 도호부와의 관계를 중시하였기 때문에 도중에 위치한 역참 시설인 신명역에 배속된 마필과 역리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변천]
신라 초기 장토지야(張吐之野)이던 이곳에 고려 시대에는 금주도(金州道)에 속한 아등량역이, 조선 전기부터는 황산도(黃山道)에 딸린 아월역이 위치하였다. 이렇듯 역 명칭은 바뀌었지만 위치나 기능은 그대로이었다. 하지만 조선 전기의 역도망 재편에 따라 경상남도 동남부 지역의 역 편제 방식은 크게 변하였다. 고려 시대 낙동강 너머의 김해를 중심으로 편성된 역도(驛道)인 금주도 소속에서 양산을 중심으로 편성된 황산도로 바뀐 것이다. 그 과정 중 역 이름도 아월역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아월역이 기장 북 48리에 위치하였다는 문헌 기록과 달리 기장 지역의 고지도 중에는 그 지점에 아월역이 표기된 지도는 현재로는 하나도 없다. 그나마 18세기 중·후반에 제작된 『해동 지도』, 『여지도(輿地圖)』, 「1872 군현 지도 기장 지도(1872郡縣地圖機張地圖)」 등에서 신역이나 신월역(新月驛)이라 표기하고 있는 정도이다. 심지어 『해동 여지도(海東輿地圖)』 기장현[1776~1795],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1861] 등을 비롯한 18·19세기 대부분의 고지도에서는 아월역이 『해동 지도』의 영천(榮川) 지점, 즉 지금의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 근처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기도 하다.
이들 지도에서 아월역을 잘못 표기한 이유는 옛길을 지도상에 표기할 때 군현 지도(郡縣地圖)와 대축척 지도상에서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표현하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고지도상에서 기장~양산 간 교통 직로상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아월역이 두 지역 교통로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 시설임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일 것이다.
[의의와 평가]
아월역은 신라[장토지야], 고려[아등량역], 조선[아월역]에 걸쳐 교통 요충지로서의 성격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상호 비교 연구가 가능하다. 또한 아월역과 같이 역참 시설이 고지도상에서 어떻게 표기되어 있는지에 대한 내용도 추후 정확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지도가 풍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지만, 자료로서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서 재검토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