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명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443
한자 新明驛
영어의미역 Sinmyeong Stat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한정훈

[정의]

조선 시대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에 있던 동래 도호부와 기장현의 교통로상의 중간 지점 역참.

[제정 경위 및 목적]

신명역(新明驛)의 기능과 관련하여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옆 마을인 6세기 후반~7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는 고촌리 유적(古村里遺蹟)에서 폭 170㎝의 수레바퀴 흔적을 비롯하여 일정한 규모의 노폭과 노면을 갖춘 도로 유구(遺構)가 발굴되었다. 이러한 여러 정황을 고려해 볼 때 이 일대는 고대로부터 동래~기장 간 교통로상의 주요 지점으로, 신명역은 이 노선상의 교통 편의 시설이었다.

『기장읍지(機張邑誌)』[1786]에 따르면, 신명역이 위치한 기장현 서쪽 10리 지점에는 고려 시대에 고촌 부곡(古村部曲)·결며 부곡(結旀部曲)이 위치하였다. 조선 초기에 현존한 부곡을 기재하고 있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서 이들 부곡 명칭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신명역의 전신(前身)으로 추측되는 기장신역(機張新驛)이 확인된다.

즉 조선 세종 대에 동일한 지점[현의 서쪽 10리]에 위치하였던 부곡(部曲)[고촌 부곡·결며 부곡]은 사라지고 역(驛)[기장신역]만 존재한 것이다. 결국 고촌부곡·결며부곡 일부가 역 시설로 전환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반 군현민보다 경제적으로 많은 공역 부담에 시달리면서 여러 방면에서 일정한 차별을 받았던 이들 부곡민(部曲民)은 신명역의 전신인 기장신역의 설치에 필요한 인적 기반을 제공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관련 기록]

『세조실록(世祖實錄)』 권29 세조 8년 8월 5일 기사에 “…… 위천역·소산역·휴산역·신명역·아월역 …… 11역은 황산도 역승으로 일컫다[…… 渭川驛·蘇山驛·休山驛·新明驛·阿月驛 …… 已上十一驛 稱黃山道驛丞]”라고 기록되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23 기장현 역원에 “신명역은 성의 서쪽으로 1리에 있다[新明驛 在城西一里]”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기장읍지』[정조 병오년] 역원에 “신명역은 기장현의 서쪽 15리에 있으며, 남쪽으로 동래 휴산역까지는 20리 떨어져 있고, 서쪽으로 양산 황산역까지는 70리 떨어져 있다. 중마 2필, 복마 6필, 역리는 73명이다[新明驛 在縣西十五里 南距東萊休山驛二十里 西距梁山黃山驛七十里 中馬二匹 卜馬六匹 驛吏七十三人]”라고 기록되어 있다.

[내용]

신명역은 고려 시대에 기장역(機張驛), 조선 초기에 기장신역으로 불리던 역참 시설이 세종 대에 개명한 역명(驛名)이다. 신명역은 18세기 정조 병오년[1786]에 편찬한 『기장읍지』를 비롯한 대부분의 읍지류(邑誌類)에서 현의 서쪽 10리에 위치하여 쌍교(雙橋)에 인접한 것으로 전한다. 신명역은 조선 후기에 기장현 상서면 신명리[『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1832] 방리]로 기록되어 있는 오늘날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로 비정할 수 있다.

[변천]

세종 즉위 후반에 신명역으로 개칭하였고, 이후 신명역으로 갑오경장 때까지 줄곧 존재하였다. 18세기 중엽에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 기장현에 따르면 신명역에는 중마 2필, 복마 6필, 역리 73명이 각각 배속되어 있었다.

[의의와 평가]

신명역은 도로 유구가 발굴된 고촌리 유적과 연결시켜 고고학 발굴 성과와 문헌 자료를 이용하여 고대로부터의 기장~동래 간 교통로 복원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신명역이 위치한 오늘날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에는 도시 철도 4호선 안평역이 건립되어 있어 시간을 초월하여 이곳이 교통 요지임이 확인된 셈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한** 위에 제시된 지도는 여지도서에는 신명역이 확인되지 않는다. 여지도 기장현이나 1872년 지방도의 기장지도에서 확인된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고지도 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04.2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