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45
한자 安平驛
영어의미역 Anpyeong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반송로 10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605-0264
준공 시기/일시 2003년 12월 3일연표보기 - 착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1년 3월 30일연표보기 - 개통
최초 설립지 안평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반송로 1001
현 소재지 안평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반송로 1001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에 있는 도시 철도 4호선의 종점 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 산맥과 황령 산맥 사이의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하여 남포동·서면 등 주요 지역의 교통난이 심각하여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이후 부산은 시가지의 외연적 확장이 계속되면서 동서축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시 철도 2호선이 건설되었다. 도시 철도 1·2호선의 개통으로 부산은 도시 철도 광역 대중교통 시대가 열리게 되었으나,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강서구에서 도심으로 연결되는 도로와 북구에서 동래로 이르는 도로의 교통난이 심화되었고, 동래에서 만덕 터널에 이르는 충렬로·만덕로강서구에서 북구로 연결되는 교량은 만성 정체 구간이 되었다.

이에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은 부산의 만덕, 미남, 연산동 등의 만성적 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특히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던 강서 지역을 도심과 직접 연결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도시 철도 4호선도시 철도 3호선까지의 도시 철도 교통망 구축에도 불구하고 평소 정체를 겪고 있던 동래구와 반송 지역의 교통난을 해소하고, 아울러 부산에 편입된 기장군 지역에 도시 철도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안평역철마면에 위치하여 기장 지역과 동래 지역을 연결하고, 도시 철도 1·3호선을 연결하여 도심과 북구 쪽으로 연결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고자 2003년 12월 3일에 미남~안평 간 12.7㎞ 구간에 해당하는 도시 철도 4호선 공사와 더불어 착공에 들어가 2011년 3월 30일에 개통하였다.

[구성]

안평역은 모두 4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상에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상 1층은 대합실이고 지상 2층은 승강장이다. 이 역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에는 역무실, 매표소, 만남의 장소, 고객 서비스 센터, 화장실, 승차권 발매기, 우대권 발급기 등이 있다.

[현황]

안평역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연간 및 일평균 승차 인원은 각각 55만 6753명과 2,010명이고, 연간 및 일평균 하차 인원은 각각 52만 2142명과 1,431명이다. 도시 철도 4호선 13개 역 중에서 승차 인원이 6번째로 많다.

이 역은 고촌 주택 단지, 안평 차량 기지 등과 가깝다. 또한 역 주변에는 고리방사능방재센터, 안평 마을, 고촌 마을, 신진초등학교 등이 있다. 안평발 미남행 첫차는 오전 5시 5분이고 막차는 오후 11시 43분이다. 반면 미남발 안평행 첫차는 오전 6시 5분이고 막차는 오전 12시 42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