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283
한자 調井堰
영어의미역 Jojeongeon Reservoir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143-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언
크기 20㎡[면적]
조성|건립 시기/일시 1826년연표보기 - 조성
현 소재지 연꽃 소류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143-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제언.

[건립 경위]

1826년 동래현 북쪽 20리[686m] 지점에 있는 척박한 밭에 물을 대는 제언(堤堰)[수자원 관리를 위해 하천이나 계류 등을 막은 구조물] 시설인 조정언이 조성되었다. 지역 주민들이 기부와 노동력을 제공하여 완성된 조정언 조성과 관련하여 조정언 비를 세웠다. 당시 이 지역은 땅에 습기가 없는 돌밭[石田]이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이 땅을 구입하여 둑을 쌓았는데, 여기에 들어간 비용은 200민(緡)이었다. 이후 제언 아래에 있는 약 13만 2231㎡[400마지기]의 땅이 기름진 옥토로 바뀌었다고 한다.

[위치]

조정언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두구동 주민자치센터에서 뒤쪽으로 올라가면 연꽃 소류지가 나오는데, 그곳에 위치한다.

[형태]

조선 시대의 제언 시설 형태를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조정언 비에 따르면 면적이 20㎡[400파(把)]가 된다고 한다.

[현황]

지금은 그 흔적이 남아 있지 않으나, 조정언으로 추정되는 연못에 연꽃 소류지가 형성되어 있어 많은 시민들의 발길이 닿고 있다. 그리고 그 앞에 조정언 비가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조정언은 조선 후기 수리 시설의 향상된 기술 수준을 바탕으로 19세기 초 동래 지역에 세워진 제언이다. 19세기 초 제언을 쌓을 때 발의에서 전반적인 공사 진행 과정을 개괄적으로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