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남도 동래군 계묘조 연분 총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516
한자 慶尙南道東萊郡癸卯條年分摠計
영어의미역 Statistics of Gyemyojo Yeonbun in Gyeongsangnam-do Dongnae-gun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강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편자 동래군
권책 1책[8장]
규격 27×17㎝
간행 시기/일시 1903년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간행처 동래군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 일원

[정의]

1903년 동래군의 각종 전답에 대한 면세 여부와 세납 전답 수를 기록한 책.

[형태/서지]

『경상남도 동래군 계묘조 연분 총계(慶尙南道東萊郡癸卯條年分摠計)』는 필사본 1책 8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책 크기는 27×17㎝이다.

[구성/내용]

『경상남도 동래군 계묘조 연분 총계』의 기재 양식은 첫 부분에 원 전답의 결부 수가 명시되어 있다. 이어서 각 전답별로 면부세(免賦稅)[부세 면제]‚ 면세 출부(免稅出賦)[세면제, 역담당]로 구분하여 이들 무세(無稅)에 해당되는 토지의 지목과 결부 수, 기타 부기 사항을 기록하고 원 결수에서 제하여 나머지 일반 국용(國用) 전답에서 실제 세납 전답 수 및 결전(結錢)을 산출하였다.

하단에는 해당 토지에 경작 여부에 따른 진(陳)과 기(起)의 내역, 출부(出賦), 출세(出稅)의 변동 사항을 간략하게 기재하였다. 국용 전답 가운데 관둔(官屯) 전답, 아록위(衙祿位) 전답, 공수위(公須位) 전답, 역공수위(驛公須位) 전답 등은 탁지부 소관으로 갑오년인 1894년에 승총(陞總)[징세에서 빠진 전답을 부세 장부에 기록하는 일]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남도 동래군 계묘조 연분 총계』는 1903년 동래군 소속 전답에 대한 면세 여부와 국용 전답의 전세 내역을 통해 당시 지방 재정의 현황과 관리 운영 사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