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415 |
---|---|
한자 | 東萊多大牧場子位田畓字號斗數結數及作者居住姓名成冊 |
영어의미역 | Record of Residents in Dongnae Dadae Mokjangja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강정원 |
[정의]
1896년 다대 목장의 위답, 위전 실태와 경작자들의 명단을 기록한 대장.
[형태/서지]
『동래 다대 목장자 위전답 자호 두수 결수 급 작자 거주 성명 성책(東萊多大牧場子位田畓字號斗數結數及作者居住姓名成冊)』은 필사본 1책 3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26.5×16㎝이다.
[구성/내용]
다대 목장의 위답(位畓)과 위전(位田)에 대한 자호(字號), 지번(地番), 배미[夜味: 영농 구획 단위], 두수(斗數), 결부 수(結負數), 작인명(作人名)이 차례로 기록되어 있다. 경작자의 성명 앞에 작대치(作大峙), 작부(민)(作富民), 작장문(作長門), 작괴정(作槐亭), 작감만(作勘蠻), 작감천(作甘川), 작용당(作龍塘), 작다대(作多大), 작대신(作大新), 작평림(作平林), 작장림(作長林), 작용호(作龍湖), 작당리(作堂里), 작구평(作舊平) 등으로 표기하여 경작자들의 거주지를 같이 기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 위답과 위전의 내역을 적은 다음 총계와 실결을 집계하여 기록하였다. 위답의 총결은 40결 6부 6속이며, 실결은 38결 97부 1속이다. 위전은 10결 94부 1속이다. 말미에는 목장을 관리하는 사음(舍音) 이선홍(李璇弘)의 성명과 납세 폐해로 인한 목장 관리의 어려움에 대해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말 동래 다대 목장의 위전답과 도세(賭稅) 납부자로서 경작자의 현황과 목장 운영의 단면을 알 수 있다. 『동래 다대 목장자 위전답 자호 두수 결수 급 작자 거주 성명 성책』은 역토, 둔토, 목장토를 비롯한 국유지를 일원적으로 파악하여 국가 재정을 강화하고자 했던 갑오개혁 이후 국유지 조사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