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남도 기장군 계묘조 연분 총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108
한자 慶尙南道機張郡癸卯條年分總計
영어의미역 A Record of Gijang-gun in Gyeongsangnam-do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윤용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편자 기장군
권책 1책[12장]
저술 시기/일시 1905년연표보기 - 저술
편찬 시기/일시 1906년연표보기 - 기장군에서 편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부산 고지도』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됨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개항기 경상남도 기장군[지금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전답에 대한 부세 등을 기록한 책.

[편찬/간행 경위]

『경상남도 기장군 계묘조 연분 총계(慶尙南道機張郡癸卯條年分總計)』는 1905년(광무 9) 경상남도 기장군의 각종 전답 결(結)에 대한 부세(賦稅)의 출세(出稅), 면세(免稅) 여부 및 결전(結錢)의 총계를 기록한 책으로, 1906년에 경상남도 기장군에서 편찬하였다. 2008년 『부산 고지도(釜山古地圖)』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되었다.

[구성/내용]

『경상남도 기장군 계묘조 연분 총계』는 필사본 1책[12장]으로 구성되었다. 원전답(元田畓) 2,402여 결 가운데 밭[田] 850여 결, 논[畓]은 1.551여 결로 파악되었다. 밭 가운데 관기전(官基田), 중마위전(中馬位田), 마위전(馬位田), 학위전(學位田) 등 33결 남짓이 무세전(無稅田)으로 보고되었다.

논에서는 관둔답(官屯畓), 중마위답(中馬位畓), 소마위답(小馬位畓), 마위여답(馬位餘畓), 부장위답(副長位畓), 급주위답(急走位畓), 남한산성속공강둔답(南漢山城屬公降屯畓), 낙선궁방절수답(樂善宮房折受畓), 학위답(學位畓), 아록위답(衙祿位畓), 관공수위답(官公須位畓), 역공수위답(驛公須位畓) 등 102결 남짓이 무세답(無稅畓)으로 보고되었다. 그 외 각종 명목 탈하(頉下) 전답을 제하면 모두 1,823결 남짓의 전답이 과세 대상으로 파악되었다. 결전(結錢)은 14만 5849량(兩) 남짓에 달하였다.

[의의와 평가]

『경상남도 기장군 계묘조 연분 총계』는 1905년경 전답에서의 부세 제도 운영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 자료이다. 또한 면세 전답과 탈하 전답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