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093
한자 梵魚寺含弘堂
영어의미역 Hamheungdang Hall at Beomeo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선방
양식 팔작지붕
정면칸수 10칸
측면칸수 2칸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건립 시기/일시 1613년연표보기 - 묘전 화상이 창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5년연표보기 - 승려 성월이 중수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원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선방.

[개설]

범어사임진왜란 이후 1603년(선조 36) 관선사(觀先師)에 의해 중건되었으나 다시 화재로 소실되었다. 이후 1613년(광해군 5) 묘전 화상(妙全和尙)이 중심이 되어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梵魚寺大雄殿)[보물 제434호], 범어사 용화전(梵魚寺龍華殿), 범어사 관음전(梵魚寺觀音殿), 범어사 나한전(梵魚寺羅漢殿), 범어사 일주문(梵魚寺一柱門) 등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범어사 심검당(梵魚寺尋劍堂), 범어사 해행당(梵魚寺解行堂), 범어사 원응방(梵魚寺圓鷹房), 범어사 청풍당(梵魚寺靑風堂), 원안심료 등을 세웠는데 범어사 함홍당(梵魚寺含弘堂)도 이 중 하나이다.

[위치]

범어사 함홍당범어사 경내에서 하단 구역에 위치한다. 범어사의 사천왕문과 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 사이 우측의 건물들 중 중앙의 큰 건물이다.

[변천]

범어사 함홍당은 1613년 묘전 화상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구체적인 중수 및 이건(移建) 관련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래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자료는 없지만 1915년의 「선찰 대본산 범어사 전경도(禪刹大本山梵魚寺全景圖)」에서 함홍당이 확인되므로,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는 위치의 이동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범어사지(梵魚寺誌)』에 수록된 「명부전 중수 유공기(冥府殿重修有功記)」에 1891년(고종 28) 범어사 함홍당이 명부전 중수를 위해 시주를 한 기록이 있다[含弘堂 文 二十四兩 米二十斗]. 현재의 범어사 함홍당 건물은 1925년 승려 성월(惺月)이 중수한 것이다.

[형태]

정면 10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현황]

1925년 승려 성월이 중수한 이후 교무소(敎務所)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사찰의 종무소(宗務所)로 활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 함홍당범어사의 7대방 중 하나로 조성되어 선방(禪房)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적어도 1925년 이후부터는 건물의 활용 성격이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