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616
한자 趙載敏善政不忘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onoring the Virtue of Jo Jaemi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1482-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선정비
관련인물 조재민(趙載敏)[1706~?]
재질
크기 1.5m[가로]|3m[세로]
소유자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건립 시기/일시 1751년 9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706년연표보기 - 조재민 출생
현 소재지 조재민 선정불망비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1482-2지도보기
원소재지 조재민 선정불망비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624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조재민의 선정비.

[개설]

조재민(趙載敏)[1706~?]은 1741년(영조 17) 소시(召試)[예문관 검열을 뽑기 위해 만들어진 시험]에 등과한 후 교리(敎理), 사관(史官), 승지(承旨) 등의 관직을 거쳤다. 1750년 7월 15일부터 1751년 6월 17 동래 부사로 재임하였다.

[건립 경위]

조재민 선정불망비(趙載敏善政不忘碑)는 동래 부사 조재민의 혜택을 받았던 동면[해운대구]북면[금정구]의 주민들이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1751년 9월 건립하였다.

[위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1482-2번지에 있다.

[형태]

가로 1.5m, 세로 3m 크기의 마애비이다.

[금석문]

‘부사 조공재민 청덕선정 만고불망(府使趙公載敏淸德善政萬古不忘)’, ‘숭정 후 삼 신미 구월 일 동북면 마애 감관 최준혁(崇禎後三辛未九月日東北面磨崖監官崔峻赫)’이라고 새겨져 있다.

[현황]

조재민 선정불망비는 본래 동래 부사 정이검 선정불망비와 함께 하나의 돌에 새긴 마애비이었다. 그런데 조재민 선정불망비 쪽이 떨어져 나가 두 개의 마애비로 나뉘었다. 2010년 부산광역시 금정구에서 도로를 확장할 때 정이검 선정불망비와 함께 지금의 위치인 금정 구민 운동장 근처로 이전하였다. 조재민 선정불망비에 대한 상세 설명이 따로 되어 있지 않아 구민들에게 전달이 잘되지 않는 듯하다. 부산광역시 금정구청이 소유하여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재민 선정불망비가 위치한 곳은 조선 시대 황산도(黃山道)[영남 대로의 종착 노선으로 동래~밀양까지이며, 16개의 속역이 있었다] 관할 범위이다. 황산도 관할은 사림파의 본거지이므로 유교적 문화 경관으로 도로변에 송덕비, 열녀비 등을 세웠다. 즉 백성들이 조재민 선정불망비를 통해 충효 사상을 되새기길 기원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재민 선정불망비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의 조재민 선정비와 함께 조재민의 동래 부사 흔적을 되새기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