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481
한자 蓮龜里礪山宋氏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of Yeosan Song Clan in Yeongu-ri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거지
가구수 약 10가구
세거지 연구리 여산 송씨 세거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에 있는 여산 송씨 세거지.

[개설]

시조 송유익(宋惟翊·宋有翼)[일명 송수익(宋收益)]은 고려조의 진사로 상계(上系)와 자세한 사적은 알 수 없으나 벼슬하기를 꺼려해서 고향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송유익의 아들 송숙문(宋淑文)이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오름으로써 그에게 은전이 내려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되었다.

그리고 4세 송례(宋禮)가 고려 원종 때 권신 임연(林衍) 일파를 제거하고 왕실을 바로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추성익대보리 동덕좌명공신(推誠翼戴輔理同德佐命功臣)에 책록되고 벽상 삼한 삼중대광 광정대부 문하시중 판전 이사사 상장군(壁上三韓三重大匡匡靖大夫門下侍中判典理司事上將軍)에 오르고 여량 부원군(礪良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식읍 1,000호를 하사받았다. 여량(礪良)은 여산(礪山)의 옛 이름이다. 이런 연유로 후손들이 여산을 관향으로 삼고, 송례를 중시조로 하였다.

[명칭 유래]

연구리(蓮龜里)는 연봉리(蓮峰里) 마을과 구림리(龜林里) 마을이 합쳐져 만들어진 지명이다. 연봉리는 마을의 산이 연꽃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며, 구림은 구칠재에서 따온 명칭이라고 한다. 또한 주민들은 옛날 연구리 본동에 있던 연못[蓮池]에 거북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구림 마을은 구노실 마을보림 마을에서 각각 한 자씩을 따온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15세기 중반 동래 입향조인 송극명(宋克明)은 시조로부터 7세손으로 송장경(宋長卿)의 아들이다. 호는 동주(東洲)이며, 벼슬은 통정대부(通政大夫) 절충장군(折衝將軍) 도정(都正)에 이르렀다. 단종의 숙부 수양 대군(首陽大君)이 조카 단종으로부터 선위(禪位)할 때, 송극명은 홀연히 불원천리하고 동래로 와서 은거하였다. 현재 부산 일원에 거주하는 여산 송씨 집안은 원윤공파(元尹公派)의 후손인데, 지역에서는 흔히 동주공파(東洲公派) 또는 동주공 종중(東洲公宗中)으로 불린다.

동래 입향조 송극명의 아들 송윤희(宋允熹)[시조로부터 8세손]에게는 아들 6형제가 있었는데, 송승서(宋承緖)·송승효(宋承孝)·송승한(宋承翰)·송승보(宋承寶)·송승륜(宋承輪)·송승원(宋承源)이었다.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입향조는 16세기 말경, 5남 10세 송승륜의 현손 송응정(宋應井)이다. 여기서 일부는 마지 마을, 와여 마을 등지로 이거하였다. 그리고 송응정의 현손인 송상덕(宋尙德)의 부인이 열녀 김씨로, 현재 마을에 열녀 김씨 정려비가 세워져 그 정신을 이어 오고 있다.

[자연 환경]

연구리는 동쪽으로 아홉산[360m]에서 뻗은 산줄기가 있고, 서쪽으로 북쪽에서 발원해 남쪽의 이곡천에 흘러드는 소하천이 있다. 전체 지형은 북동쪽으로 높고, 서쪽으로 저지대가 나타난다.

[현황]

송상덕의 직계 후손은 정관읍철마면 구칠리 점현 마을 해주 오씨 재실 삼정재 옆에도 일부 살고 있다. 2004년 6월 23일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세곡재(細谷齋)를 준공하여 위패 300위를 봉안하고 매년 음력 중정 일에 향사를 올린다. 2013년 현재 16대째, 약 10가구가 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