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566
한자 店峴-
영어의미역 Jeomhyeon Village
이칭/별칭 점티 마을,점터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 점현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경상남도 기장군 상서면 구칠동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기장군 상서면 구칠동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철마면 구칠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동래군 철마면 구칠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철마면 구칠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경상남도 양산군 철마면 구칠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 철마면 구칠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 철마면 구칠리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로 개편
자연 마을 점현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 점현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점티가 있어 이것의 한자어인 점현(店峴) 마을이 되었다. 옛 이름은 점터 마을 혹은 점티 마을이었다.

[형성 및 변천]

임진왜란 이후 동래 정씨(東萊鄭氏)가 정착하여 살면서 마을이 처음으로 형성되었다. 1914년 지방 제도 개편에 따라 기장군 상서면 구칠동동래군 철마면 구칠리로 개편되었다. 1973년 양산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기장군의 복군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 점현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점현 마을 북쪽으로 이곡천철마천이 흐른다. 마을 가운데로 구칠천이 흐른다. 멀리 동쪽은 일광산, 서쪽은 삼정사 고개, 북쪽은 아홉산이 둘러싸고 있다.

[현황]

점현 마을점현 마을과 갓안 마을을 합쳐서 이룬 마을이다. 기장군 철마면 구칠리 379번지 일대 9통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로, 철마면사무소에서 구칠리 쪽 기장 방면으로 계속 가다 보면 ‘점현[갓안] 마을 어서 오십시요’라는 표지판이 서 있다. 오른쪽으로 들어가면 나오는 마을이 갓안 마을이고, 조금 지나 왼쪽 편에 있는 마을이 점현 마을이다. 이 마을은 철마 한우 축제와 더불어 한우 불고기 정육점 마을로 바뀌었다.

해주 오씨(海州吳氏) 재실 삼정재(三亭齋)가 있고, 마을 서쪽 개울가에 삼정자(三亭子)라는 정자가 있어서 정자가 있는 고개를 삼정자 고개라 하였다. 옛날 고개 마루에 큰 돌 3개가 있었는데 장사 3형제가 바위 셋을 옮겨 놓는 힘겨루기를 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지금은 정자는 없어지고 큰 바위들이 흩어져 있다. 후세의 이곳 사람들이 3장사를 기념하기 위해 힘을 뽐냈던 자리에 삼정자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또 옛날에 마을 어귀에 큰 돌을 놓아두고 마을 장정들의 힘겨루기와 수련에 이용하는 관습이 있었다.

이곳에는 구칠리 본동 당산과 상신 당산이 있다. 본동 당산은 마을로 들어가는 길목의 왼쪽 산 밑, 곧 마을에서 동북으로 250여m의 산록 밑에 위치한다. 제당의 건립 연대는 미상이다. 제당 주위에는 불록 담장이 있고, 담장 안에는 50여 년생의 홰나무 4그루가 있으며, 뒤에는 소나무 숲이다. 제의는 1년에 한 번,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경에 올린다. 특기 사항으로 마을 입구의 오른쪽 길가[제당에서 서북쪽 약 150m 지점의 산록 밑에 있음]에 골목 할매 바위가 있는데, 당산제를 지낼 때 청년 회원이 먼저 이 바위에 가서 “제만을 지낼 터이니 같이 갑시다.” 하고, 골목 할매를 당사로 모셔 와 함께 지낸다.

구칠리 상신 당산은 동북쪽 산 중턱에 있다. 당사(堂祠)의 건립 연대는 1971년 3월 5일이다. 돌 축대 위에 제당이 세워져 있고, 제당의 양옆과 뒤에 낮게 돌담장 형태가 있다. 제의는 1년에 한 번, 음력 정월 14일 밤 자정경에 올린다. 특기 사항으로 옛날 제당을 짓기 전에는 오리 형상의 거릿대를 만들어 제당 위쪽에 세웠으나, 요사이는 제의 3일 전에 만들어 제당 안에 세운다. 제의를 마치면 제물로 사용한 마른 명태를 제당 안 거릿대에 머리가 위로 향하게 하여 걸어 둔다. 마을 주업은 논농사인 벼농사이며, 열무와 뽕나무 열매인 오디[桑實]를 시장에 내다팔아 소득을 올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