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수필부산문학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164
한자 隨筆釜山文學會
영어의미역 Essay Literary Society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학 단체
설립자 박문하 외 7명
전화 051-510-2033
홈페이지 수필부산문학회 카페(http://cafe.daum.net/supilbusan)
설립 시기/일시 1963년 여름연표보기 - 수필문학동인회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79년연표보기 - 수필문학동인회에서 수필부산동인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수필부산동인회에서 수필부산문학회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7월 15일 - 동인지 『essay』 창간호 발간
최초 설립지 수필문학동인회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일대
현 소재지 수필부산문학회 - 부산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필 문학 단체.

[설립 목적]

수필부산문학회는 부산 지역의 수필 문학 창작과 연구 및 그 발전에 이바지하면서 회원 서로간의 친목을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63 여름, 당시 주로 신문에 글을 쓰던 김병규, 김일두, 박문하, 오도환, 이남원, 장성만, 정신득, 허천 등 8명이 부산직할시 중구 광복동 ‘7커피’ 다방에서 모여 발기 총회를 가지고 ‘수필문학동인회’를 결성하였다. 당시에는 회칙이나 회장이 없고, 편집 위원으로 허천, 오도환 동인이 회무를 맡았으며, 1963년 7월 15일 동인지 『essay』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1979년 『essay』 21호를 발간할 때부터 모임의 이름을 ‘수필부산동인회’로 고치고 정식 회장제를 채택하여 정신득을 초대 회장으로 추대하였다. 2004년 젊은 수필가를 동인으로 맞이하기 위해 신인상 제도를 제정함으로써 모임 이름을 ‘수필부산문학회’로 고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수필부산문학회는 회지 발간, 수필 창작과 연구에 관한 사업을 주로 한다. 그리고 ‘수필부산문학회 신인상’을 제정하고 신인을 꾸준히 발굴하는 작업과 회원 서로의 친목을 다지고 있다. 또한 수필부산문학회는 결성한 해부터 동인지로 『essay』를 발간하였다. 제2호부터는 독자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서기 위해 표제를 『隨筆(수필)』이라 바꾸었다. 1964년 3월 10일 향파(向破) 이주홍(李周洪)[1906~1987] 선생의 표지 그림과 장정(裝幀)[책의 겉장 등의 꾸밈]으로 ‘수필동인회’의 새 이름으로 발행한 이래 1975년부터 1976년까지 동인지 출간이 잠시 중단된 시기를 빼고 지금까지 꾸준하게 발행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수필부산문학회는 회장 정약수를 중심으로 50여 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다.

[의의와 평가]

한국 수필 동인지의 효시인 『essay』와 최장수 동인지 『수필』을 발행하고 있는 수필 문학회로서, 한국 수필의 발전과 저변 확대에 이바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