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304
한자 李周洪
영어음역 Yi Juhong
이칭/별칭 향파(向破),이향파(李香破·李香派),여인초(旅人草),방화산(芳華山),망월암(望月庵)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이순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학가
성별
본관 경주(慶州)
대표관직|경력 『갈숲』 동인|부산수산대학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06년 5월 20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18년 - 합천보통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24년 - 한성중학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28년 - 동경의 정칙영어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28년 - 히로시마시립근영학원 설립,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29년 - 『조선 일보』 신춘문예에 입선
활동 시기/일시 1930년 - 카프 기관지 『음악과 시』 창간 인쇄인
활동 시기/일시 1931년 - 프롤레타리아 동요집 『불별』 발간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36년 - 순수 문예지 『풍림』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40년 - 『신세기』 편집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3년 - 『매일 신보』 현상 모집, 조선영화주식회사 공모에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경찰에 피검되어 8월 16일 출소함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 중앙 집행 위원 겸 아동 문학부 위원. 조선프롤레타리아미술동맹 상임 위원 겸 중앙 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배재중학교 교사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조선문학가동맹 서울시지부 집행 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아동 잡지 『새동무』 편집
활동 시기/일시 1947년 - 동래중학교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49~1972년 - 부산수산대학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58년 - 부산아동문학회 결성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경상남도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제1회 부산대학교 학술 공적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65년 - 동인지 『윤좌』 창간
활동 시기/일시 1966년 - 문예지 『문예 시대』 창간, 주간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68년 - 눌원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8년 - 동인지 『갈숲』 창간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대한민국 예술원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제1회 이주홍 아동 문학상 시상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제1회 한국 불교 아동 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대한민국 문화 훈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대한민국 문학상 본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3·1 문학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1987년 1월 3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8년 - 이주홍 문학비 건립
추모 시기/일시 2002년 - 이주홍 문학상 제정
추모 시기/일시 2002년 5월 - 이주홍 문학제 개최
추모 시기/일시 2002년 10월 - 이주홍 문학관 개관
추모 시기/일시 2006년 6월 - 이주홍 문학비 제막
추모 시기/일시 2006년 12월 - 동상과 시비 제막
추모 시기/일시 2012년 1월 - 이주홍 어린이 문학관 개관
출생지 이주홍 출생지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금양리 사동
수학|강학지 합천보통학교 - 경상남도 합천군
수학|강학지 한성중학원 - 서울특별시
수학|강학지 정칙영어학교 - 일본 도쿄
묘소|단소 백운 공원묘지 - 경상남도 양산시

[정의]

현대 부산에서 활동한 문학가이자, 근대 계급주의 1세대 문학인.

[활동 사항]

이주홍(李周洪)[1906~1987]은 1906년 5월 20일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금양리 사동에서 태어났다. 향파(向破), 이향파(李香破·李香派), 여인초(旅人草), 방화산(芳華山), 망월암(望月庵) 등의 호와 필명을 사용하였다. 영남 유학계의 태두인 김사문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합천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웠다. 1918년 합천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고향에서 연극과 문예 문집, 신문 편집 등의 활동을 거치면서 1923년 무렵부터 『신소년』에 작품을 투고하였다.

1924년 서울로 가서 한성중학원을 졸업하였고, 일본 히로시마[廣島]에서 노동과 학업을 병행하였다. 이후에도 향학열을 불태우며 1926년부터 1928년까지 동경의 정칙(正則)영어학원에서 학업을 이어 나갔으며, 졸업 후에는 다시 히로시마로 돌아가 히로시마사립근영학원을 설립하고 교무 주임이 되어 조선인 아이들의 교육에 힘썼다.

1929년 『조선 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가난과 사랑」이 선외가작(選外佳作)으로 입선되자, 봄에 귀국하여 서울로 올라가 『신소년』 편집 기자로 일하였다. 1930년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에 참여하여 카프의 기관지 『음악과 시』의 창간 인쇄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듬해에는 프롤레타리아 동요집 『불별』의 발간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1936년 순수 문예지 『풍림』을 발간하였고, 1940년 『신세기』 편집장으로 매체 편집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갔다.

1943년에는 희곡 「여명」이 『매일 신보』 현상 모집에, 시나리오 「장미의 풍속」이 조선영화주식회사 공모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출판 미술가와 만화가로 활동하던 일제 강점기 말, 고향에서 올라온 경찰에게 체포되어 거창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945년 8월 16일 풀려났다. 이후 다시 서울로 올라가 배재중학교 교사로 일하며 희곡 창작과 연출 활동을 활발하게 하였다.

이 무렵 서울 문단에서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의 중앙 집행 위원 겸 아동 문학부 위원, 조선프롤레타리아미술동맹 상임 위원 겸 중앙 위원으로,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서울시지부 집행 위원으로 일하며 좌파 행보를 이어 나갔다. 한편으로 아동 잡지 『새동무』를 편집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1947년 여름,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부산으로 내려와 동래공립중학교[현 동래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며 학교 연극과 학생들의 문예 활동 지도에 바쁜 나날을 보냈다. 1949년 9월부터는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으로 자리를 옮겨 1972년까지 재임하였다.

1958년 부산에서 부산아동문학회를 결성하였고, 1965년 동인지 『윤좌(輪座)』를 창간하였으며, 1966년 종합 문예지 『문학 시대』를 창간한 뒤 주간으로 취임하여 7집까지 발행하였다. 1978년에는 동인지 『갈숲』을 창간하여 동인으로 활발한 문필 활동을 벌여 나갔다. 이처럼 광복 이후 이주홍은 교육계에 머물면서 부산의 연극 활동과 아동 문학 창작을 이끄는 한편, 부산 지역 문학의 새로운 담론 창발과 실천에 앞장섰다. 1981년 이주홍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부산수산대학의 제자들이 뜻을 모아 이주홍 아동 문학상을 제정하여 시상하였다.

이주홍은 1928년 『신소년』 5월호에 동화 「배암색기의 무도」를 발표한 이후 소년 소설, 동요, 동시, 동화, 희곡, 시, 소설 등의 다양한 갈래에 걸쳐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쳤다. 그뿐만 아니라 연극 연출, 매체 편집과 발행, 장정 등을 주도하며 종합 예술인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내기도 하였다. 다채로운 이력만큼이나 작품 세계도 다층적이다. 그만큼 근대 문학사의 격랑을 헤쳐 온 이주홍은 광복 이후 경남·부산 지역 문학의 든든한 밑자리를 닦는 데 큰 영향을 미친 셈이다. 1987년 1월 3일 고단하였으나 다채로웠던 문학 활동을 마감하고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주홍은 시, 소설, 희곡, 아동 문학, 수필, 고전 번역에 걸쳐 엄청난 양의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펴낸 책만 해도 창작집과 교과용 도서를 포함하여 200여 권에 이른다. 이주홍이 사망한 후 소설과 희곡 작품을 갈무리한 『이주홍 소설 전집』 1-5[세종출판사, 2006], 『이주홍 극문학 전집』 1-3[세종출판사, 2006]이 출간되었다. 저작물에 대해서는 류종렬의 『이주홍과 근대 문학』[세종출판사, 2004]에서 자세하게 밝혀 놓았다.

[묘소]

경상남도 양산시 백운 공원묘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경상남도 문화상, 제1회 부산대학 학술 공적상, 1968년 눌원 문화상, 1979년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수상하였다. 1980년 이주홍아동문학상운영위원회가 결성되어 1981년 제1회 이주홍 아동 문학상을 시상[수상자 박홍근]하였다. 그리고 1983년 제1회 한국 불교 아동 문학상, 1984년 대한민국 문화 훈장, 1985년 대한민국 문학상 본상, 1987년 3·1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1988년 이주홍 문학비[동래구 금강 공원]를 건립하였고, 2002년 이주홍아동문학상운영위원회가 이주홍문학재단으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이주홍 문학상으로 확대하여 본상·아동 문학상·평론상 등 3개 부문으로 시상하고 있다. 2002년 5월 이주홍 문학제가 개최되었고, 10월 이주홍 문학관이 개관되었으며, 2006년 6월 이주홍 문학비[부경대학교 교정], 2006년 12월 동상과 시비 제막[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새천년 생명의 숲 공원]이 있었으며, 2012년 1월 이주홍 어린이 문학관[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합천 호수로]이 개관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