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교육문화센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22
한자 釜山敎育文化-
영어의미역 Busan Education and Culture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118번길 31[전포동 172-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영리 민간단체
설립자 정복권
전화 051-803-7330
홈페이지 부산교육문화센터 카페(http://cafe.daum.net/edumunhwa)
설립 시기/일시 1996년 6월 11일연표보기 - 설립
이전 시기/일시 2012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75-27에서 172-1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3월 5일 - 부산광역시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
최초 설립지 부산교육문화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75-27 2층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교육문화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72-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교육문화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 118번길 31[전포동 172-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성인 교육 문화 기관.

[설립 목적]

부산교육문화센터는 배움의 기회를 놓친 성인 문맹자를 대상으로 성인 기초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개인 학습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풀뿌리 민주 시민 사회를 건설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1996년 6월 11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75-27번지의 2층에 부산교육문화센터를 설립하여 성인 한글 교육을 처음 시행하였다. 2003년 3월 5일 부산광역시에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하였다. 이후 2012년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72-1번지로 이전하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교육문화센터의 주요 사업은 가난, 사회적 불평등, 전쟁 등으로 인하여 한글을 제때 깨치지 못한 성인 비문해자(非文解者)에게 문자 해독 교육과 문화 이해 교육, 사회 참여 교육 등을 실시하는 교육 사랑방으로서 글자와 노래, 셈하기와 영어, 일기 쓰기와 컴퓨터 교육 등 성인 비문해자에게 배움의 목마름을 해소해 주는 옹달샘 같은 공간이다.

부산교육문화센터의 주된 사업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문자 해독의 교육이다. 본 시설은 2006년부터 현재까지 성인 문해 교육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지원받고 있으며, 어머니 한글 교실, 기초 생활 한자, 영어 교육, 역사 교육과 체험 등의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배움의 기회를 놓쳐 버린 성인 여성을 위하여 매년 어머니 한글 교실을 연다.

2012년도 기준으로 부산교육문화센터의 어머니 학교에서 실시한 한글 교실은 월·수 오전에 초급 1, 2반 수업을 비롯하여 화·목·금 오전에 초급 3반 수업을, 화·목·금 오후에는 중급반과 고급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2013년 현재 어린이 주말 체험 교실을 비롯하여 좋은 엄마 모임과 같은 교육 운동도 함께 전개하고 있다.

[현황]

비영리 문해 교육 전담 기관인 부산교육문화센터의 자산 규모는 4,000만 원이고, 건물은 유상 임대를 하였다. 4,000만 원의 보증금에 월세 44만 원으로 2년 임대이며, 전체 교실 수는 3개이다. 시설의 연면적은 148.5㎡이며, 교실 3개, 교원 연구실[교무실, 행정실 등] 1개, 화장실, 도서관, 휴게실 등을 갖추고 있다.

2012년 문해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문해 1단계[초등 1, 2학년 수준]와 문해 3단계[초등 5, 6학년 수준] 프로그램에서 65명의 성인이 문해 교육을 받았고, 이들 중에서 59명이 이수하였다. 본 기관의 전체 프로그램 5개 중 4개 강좌가 문해 교육 프로그램이었다. 2013년 문해 교육 프로그램은 한 걸음 1, 2, 3[초등 1, 2학년 수준], 두 걸음[초등 3, 4학년 수준], 세 걸음[초등 5, 6학년 수준] 등 세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110명의 성인 학생을 교육할 예정이다.

[의의 및 평가]

부산교육문화센터는 격변기의 한국 사회, 그중에서도 부산이라는 지역 사회에서 가난과 전쟁 등 다양한 이유로 배움의 기회를 잃어버리고 성장한 성인에게 무상으로 문자 해독 교육을 실시하는 비영리 교육 단체로 그 소임을 다하고 있다. 배우고자 마음을 가진 모든 사람에게 희망을 주고 올바른 시민 사회의 주역이 되도록 일조한 활동들이 매우 높이 살 수 있는 귀감이다. 특히 어렵던 시절에 배움을 못한 여성을 대상으로 문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뜻이 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