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방파제 횟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671
한자 防波堤膾-
영어음역 Bangpaje Hoetjip
영어의미역 Embankment Raw Fish Restaurant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해변로294번길 24[민락동 181-12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정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음식점
면적 600㎡
전화 051-753-7325
홈페이지 방파제 횟집(http://www.bangpaje.co.kr)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개업
이전 시기/일시 2003년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181-123으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부산 향토 음식점 지정[부산광역시]
최초 설립지 방파제 횟집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133
현 소재지 방파제 횟집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해변로 294번길 24[민락동 181-12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 있는 회 전문 음식점.

[개설]

방파제 횟집은 제철 생선 5~6종만 가지고 계절별로 다른 코스 요리를 맛볼 수 있는 회 전문점으로, 부산광역시가 2002년부터 지정하여 유지하고 있는 부산 향토 음식점 31곳 중 하나이다.

[건립 경위]

1981년부터 인근의 생선 시장[현 진로 아파트 부지]에서 생선을 구입해 와서 먹는 일명 ‘초장집’을 운영하던 선덕남[현 대표 어머니]으로부터 가게를 이어받은 홍종관[현 대표]이 생선을 사온 손님들이 고기의 종류나 양을 제대로 고르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직접 판매를 생각하여 횟집으로 경영 방식을 바꿔 개업하면서 시작하였다. ‘방파제’라는 이름은 횟집 개업 당시, 광안리 방파제 앞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홍보하기 쉽도록 이름 지었다. 1987년 수영구 민락동방파제 횟집으로 개업하였다.

[변천]

2002년에 부산 향토 음식점으로 지정[부산광역시]되었고, 2003년에 수영구 민락동 181-123번지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성]

수협 민락 지점에서 민락 어민 활어 직판장으로 이어지는 도로[수영구 광안해변로 294번길]에 있는 3층 건물에 위치하고 있으며, 600㎡의 면적을 사용하고 있다. 1층에 실내 수조 및 조리 시설이 있으며, 층별로 최대 10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 방파제 횟집의 특징은 실내 입구에 설치된 수조로,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수조는 벽면이 타일로 마감돼 영락없는 목욕탕 모습이다. 메뉴는 활어 생선회 차림[어락 코스, 어향 코스, 특코스, A 코스], 생선회 및 해물[돌돔, 참돔, 감성돔, 이시가리, 도다리, 광어] 점심 특선[회정식 1인분, 회 비빔밥, 물회, 전복죽, 매운탕, 물메기탕], 복어[참복 코스, 검복 코스, 활복 지리] 등이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영업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11시까지이며, 휴무일은 설, 추석[각 3일]과 부처님오신날이다. 횟집 전용 주차장, 지정 주차장 등에서 2시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회 접시에 생선의 이름표를 붙여내는 방식도 방파제 횟집이 원조이다. 여름철 갯장어와 겨울철 복어 코스 요리가 인기가 많고 회식을 위한 단체 손님이 많다. 제철에 나는 자연산 횟감을 고집하고, 쌀, 채소, 양념류는 청정 지역의 토종만 선호하고 있다. 방파제 횟집의 수조는 실내에 있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받지 않아 이끼가 적고, 매일 아침 신선한 해수로 물갈이하여 항상 ‘산물’ 상태가 유지되며, 외부 온도의 영향도 통제되고, 어둡고 조용한 곳을 좋아하는 돔 같은 활어에도 좋은 환경이다.

타일 벽면은 청소하기 쉬워 제작 비용이 더 들어도 타일 수조를 쓴다고 한다. 5년 이상 된 자연산 흑돔[애완용 혹순이]이 그 수조에 살고 있다. 동화작가 배익천의 영향으로 아동 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대표는 아동 문학 계간지 『열린 아동 문학』의 발행인이기도 하다. 아동 문학가들의 동시, 동화, 동극, 소년 소설 등의 원고를 받아 편집 위원 회의를 걸쳐 『열린 아동 문학』에 실고 있다. 그 외에도 서예와 판소리, 선무도에도 관심이 많아 부산 지역 내 협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8.27 법정공휴일 명칭 변경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