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575
한자 洛東北路
영어음역 Nakdongnam-ro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남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로
길이 5,010m
차선 4~6차선
26~38m
전구간 낙동 북로 -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경상남도 김해시
해당 지역 경유 구간 낙동 북로 -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구포지구대 앞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 사거리에 이르는 도로.

[명칭 유래]

낙동로의 북쪽에서 낙동강을 통과하고 있어 붙은 이름이다. 남쪽의 낙동 남로와 대비되는 명칭으로 볼 수 있다.

[제원]

낙동 북로는 길이 5,010m, 폭 26~38m의 4~6차선 도로이다.

[건립 경위]

낙동 북로는 1932년 구포교가 개통되면서 육로로 개통되었고, 이후 교통량이 증가하자 구간별로 확장 포장되었다. 1993년 12월에는 구포 대교가 개통되며 기존의 구포교 통행이 중단되고 경로가 변경되었다.

[현황]

낙동 북로의 경로는 구포지구대에서 구포 2동 교차로를 지나 구포역, 구포 대교, 대저 생태 공원, 신대저 교차로, 대상 지하 차도, 대저교, 대저역[도시 철도 3호선부산 김해 경전철], 부산교통공사 대저 차량 기지, 가락교를 지나 경상남도 김해시의 김해교와 불암 사거리까지이다. 구포지구대에서는 시랑로와 교차하고 구포 2동 교차로에서는 백양 대로와, 구포역을 지나며 낙동강변을 따라 조성된 낙동 대로, 강변대로와 연결되며, 대저 생태 공원을 지나 공항로와, 신대저 교차로에서 중앙 고속 도로와 연결된다. 낙동 북로는 구포에서 김해까지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로 구포동에서 종점인 대저역까지의 구간은 도시 철도 3호선과 나란히 조성되어 있으며, 대저역 이후부터는 부산 김해 경전철이 도로 위에 조성된 고가 도로 상에서 달리고 있다.

낙동 북로구포 대교를 기준으로 2011년 06:00~20:00의 교통량이 5만 1810대 였는데, 2012년에는 5만 1590대로 0.4% 증가하였다. 또한 07:00~08:00에는 강서구청 방면으로 집중률이 15.20%, 18:00~19:00에는 구포 방면으로 11.30%로 나타나 오전에는 강서구청 방면의 교통량이 많고, 오후에는 구포 방면의 교통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종별 구성비는 승용차가 61.96%이며, 소형 화물차가 20.75%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