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566 |
---|---|
한자 | 空港路 |
영어음역 | Gonghang-r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남진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신포[하구둑]에서 대동교 시 경계까지 이어지는 도로.
[명칭 유래]
도로의 중간 지점에 김해 국제 공항이 위치하고 있어 붙은 이름이다.
[제원]
공항로는 길이 1만 4550m, 폭 5~10m의 도로이다. 차선은 대부분 8~10차로이며 일부 구간인 1,677m는 2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건립 경위]
낙동강변을 따라 명지 IC에서 김해 공항,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변천]
공항로는 낙동강변을 따라 있던 강변도로가 1976년 김해 공항이 들어서며 확장 포장되었고,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 등이 확장되며 부분적으로 확장 포장되었다. 1990년대 중반 명지 녹산 국가 산업 단지가 조성되며 물류 수송의 중요성이 증가해, 1997년 4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명지 IC에서 낙동 대교에 이르는 경로가 기존 왕복 2차선에서 왕복 10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2009년에는 서부산 유통 단지 진입 도로 개설 공사의 일환으로 대저 2동 공항로 총 1,100m를 폭 51~53m로 확장하는 공사가 진행되어 길이 600m의 금호 지하 차도 등이 건립, 2012년 8월 준공되었다.
[현황]
공항로의 경로는 명지 나들목에서 작지 마을을 지나 맥도, 서부산 삼거리, 금호 마을, 덕두 마을, 김해 공항 입구, 신덕 마을, 강서구청역, 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부산혜원학교를 통과해 대동 수문까지이다. 명지 나들목에서는 낙동 남로와 교차하며, 서부산 삼거리에서는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과, 김해 공항 IC 부근에서 중앙 고속 도로와, 강서구청역 인근에서는 낙동 북로, 대저로와 연결된다. 공항로의 남쪽 낙동강변에는 맥도 생태 공원이, 북쪽으로는 대저 생태 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공항로는 대동 수문을 기준으로 2011년 06:00~20:00의 교통량이 9,752대였으나, 2012년에는 1만 2862대로 31.9% 증가하였으며, 공항 앞 교차로에서는 2011년 06:00~20:00의 교통량이 3만 4060대에서 2012년 3만 3346대로 2.1% 증가하였다. 또한 07:00~08:00에는 김해 방면으로 집중률 11.90%, 17:00~18:00에는 강서구 방면으로 집중률이 11.20%로 나타나 큰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차종별 구성비는 승용차가 59.39%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이며, 소형 화물차가 23.03%로 매우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