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559 |
---|---|
한자 | 忠壯路 |
영어음역 | Chungjang-r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남구 문현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태윤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과 남구 문현동을 연결하는 도로.
[명칭 유래]
임진왜란 때 충장공 정발이 왜적과 처음 접전한 바다와 인접한 길이라 충장로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제원]
중앙 사거리에서 동천 삼거리까지 길이는 4,400m이고, 폭은 50m이다. 충장로의 모든 구간이 왕복 10차선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행 최대 제한 속도는 70㎞/h로 규정되어 있다.
[건립 경위]
충장로는 부산항으로의 물류 이동을 담당하는 도로로 개설되었다.
[변천]
충장로는 일제 강점기 부산항의 개발과 함께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산업 발달로 부산항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교통량이 늘어나자 확장하여 현재에 이른다.
[현황]
충장로는 부산항 배후 도로로 조성되어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중앙 사거리에서 세관 삼거리, 영주 고가교, 4부두 교차로, 항만소방서 앞, 항만 삼거리를 지나 남구 문현동 동천 삼거리로 연결되는 도로이다. 중앙 사거리에서는 중앙로, 동천 사거리에서는 우암로와 연결된다.
충장로는 부산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은 곳이다. 충장로의 6:00~22:00 교통량은 9만 1505대이다. 항만청에서 부산세관 방향 교통량이 5만 549대로, 부산세관에서 항만청 방향의 교통량인 4만 956대보다 많다. 17:00까지는 부산세관 방면 교통량이 많으며 이후에는 항만청 방면 교통량이 많다. 충장로는 부산항 부두를 따라 지나기 때문에 부산에서 화물 차량의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이다. 2009년의 화물 차량 혼재율은 15%이고, 2010년 화물 차량 혼재율은 18%이다. 혼재율이 20% 이상 증가하고 있다.
충장로 중 평일 출퇴근 시간인 오전[07:00~09:00]과 오후[17:00~19:00] 시간에 「부산광역시 교통 조사」에 제시된 혼잡 기준 속도인 25㎞/h 이하에 해당되는 구간은 오전에 영주 고가교에서 세관 삼거리 구간이 해당되며, 나머지는 혼잡 기준 속도를 벗어나 있다. 하지만 화물 차량의 혼재율이 높고, 부산항 부두의 특성 때문에 차량 통행량이 높아져 2014년에 지하 도로를 착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