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952 |
---|---|
한자 | 釜山廣域市廳 |
영어의미역 |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
이칭/별칭 | 부산부청,부산시청,부산직할시청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 100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재호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개설]
부산광역시청은 광역 지방 자치 단체인 부산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부산광역시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설립 목적]
「대한민국 헌법」 제8장과 「지방 자치법」 제2조에 의거, 부산광역시의 행정 및 민원 등 업무를 총괄하고, 주민 복지의 증진과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변천]
1910년 10월 1일 일제에 의해 기존의 동래부가 경상남도 부산부로 변경되면서, 동광동 2가의 구 초량 왜관 관수가(館守家) 자리에 있던 부산관리관청[1876년 개청]이 부산부청으로 변경되어 개청하였다. 1936년 3월 중앙동 7가에 부청 청사[현 롯데 백화점 광복점 부지]를 준공하여 이전하였고, 1949년 8월 15일 경상남도 부산시청으로 변경하였다. 1963년 1월 1일 정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부산직할시청으로 변경되었고,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청으로 변경되었다. 1998년 1월 20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의 신청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 관할 구역
1914년 3월 1일 부산부를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리하면서 부산부에는 부산부 구 일본 거류지, 지나(支那)[중국] 거류지 일원, 부산면, 사중면, 사하면 중 부민동, 대신동, 부평동, 대청동의 일부, 용주면 중 용당동의 일부가 속했고, 동래군에는 부산부 읍내면, 동상면, 동하면, 북면, 서상면, 서하면, 남면, 동평면, 사상면, 좌이면, 사하면, 용주면 중에 부산부에 속하지 않는 지역과 기장군 일원이 속하게 되었다.
1936년 4월 1일 제1차 관할 구역 확장으로 동래군 서면, 사하면 암남리를 편입[112.23㎢로 증가]하였다. 1942년 10월 1일 제2차 관할 구역 확장으로 동래군 동래읍, 사하면, 남면, 북면의 금곡리와 장전리를 편입[241.12㎢로 증가]하였다. 1951년 9월 1일 중부, 서부, 영도, 부산진, 초량, 동래에 6개의 출장소를 설치하였고, 1957년 1월 1일 구제(區制) 실시로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가 설치되었다.
1963년 1월 1일 제3차 관할 구역 확장으로 동래군 구포읍, 사상면, 북면, 기장읍의 송정리를 편입[360.25㎢로 증가]하였다. 1973년 7월 1일 동래군이 폐지되었고, 기장 지역을 양산군에 편입하였다. 1975년 1월 1일 각 구에 구청장이 임명되었고, 10월 1일 부산진구 대연동·용호동·용당동·감만동·우암동·남천동·문현동, 동구 범일동, 동래구 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 등을 관할 구역으로 하는 남구를 설치하였다.
1978년 2월 15일 제4차 관할 구역 확장으로 김해군 대저읍 일원과 명지면·가락면의 일부를 편입하여 북구를 신설[432.27㎢로 증가]하였고, 부산진구 금성동 일원을 동래구로, 부산진구 학장동의 일부를 서구로 각각 편입하였다. 1980년 4월 1일 동래구 우동·중동·좌동·송정동·반여동·석대동·반송동 일원과 재송동 일부를 관할 구역으로 하는 해운대구를 신설하고 재송동의 일부를 남구로 편입하였다. 1983년 12월 15일 서구 괴정동·당리동·하단동·신평동·장림동·다대동·구평동·감천동 일원과 북구 대저 2동 중 을숙도와 일웅도 일원을 관할 구역으로 하는 사하구를 신설하였다. 1988년 1월 1일 동래구 서동·금사동·오륜동·부곡동·장전동·회동동·선동·두구동·노포동·청룡동·남산동·구서동·금성동을 관할 구역으로 하는 금정구를 신설하였다.
1989년 1월 1일 제5차 관할 구역 확장으로 북구 대저 1동·대저 2동·강동동·명지동과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녹산면 및 의창군 천가면 일원을 관할 구역으로 하는 강서구를 신설[526.00㎢로 증가]하였다. 1995년 3월 1일 제6차 관할 구역 확장으로 동래구 연산동 및 거제동의 일부 지역에 연제구를, 남구 남천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 일원 지역에 수영구를, 북구 삼락동·모라동·덕포동·괘법동·감전동·주례동·학장동·엄궁동 일원 지역에 사상구를, 경상남도 양산군 기장읍·장안읍, 철마면·일광면·정관면 일원 지역에 기장군을 각각 신설하였고 경상남도 진해시 가주동·용원동의 일부를 강서구에 편입[748.92㎢로 증가]하였다.
2000년 1월 12일 부산경남경마장의 신설로 강서구 범방동의 일부를 경상남도 김해시로 이양하고, 김해시 장유면의 일부를 강서구로 편입하였다. 그리고 2005년 12월 31일 낙동강 지역 사빈지[763.46㎢] 등록과 2007년 12월 31일 용호만 매립[765.64㎢] 및 2009년 12월 31일 일부 해안 지역 매립[766.166㎢로 증가]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역대 시장
제1대 양성봉(梁聖奉)[부산 부윤: 府尹][1946년 1월 24일~1948년 11월 6일], 제2대 정종철(鄭鐘哲)[~1950년 4월 20일], 제3대 김주학[~1952년 5월 7일], 제4·5대 손영수(孫永壽)[~1954년 7월 9일], 제6대 최병규(崔丙奎)[~1955년 2월 13일], 제7·8대 배상갑(裵上甲)[~1960년 5월 10일], 제9대 이근용(李瑾鎔)[~1960년 12월 26일], 제10대 김종규(金鐘圭)[~1961년 5월 24일], 제11대 변재갑(卞在甲)[~1962년 4월 20일], 제12·13대 김현옥(金玄玉)[~1966년 3월 30일], 제14대 김대만(金大萬)[~1969년 4월 26일], 제15대 김덕엽(金德燁)[~1970년 4월 15일], 제16대 최두열(崔杜烈)[~1971년 6월 11일], 제17대 박영수(朴英秀)[~1977년 7월 6일], 제18대 최석원(崔錫元)[~1980년 1월 16일], 제19대 손재식(孫在植)[~1981년 4월 7일], 제20대 김무연(金武然)[~1982년 5월 24일], 제21대 최종호(崔鐘鎬)[~1985년 2월 21일], 제22대 정채진(鄭埰鎭)[~1986년 8월 28일], 제23대 김주호(金周浩)[~1987년 5월 18일], 제24대 강태홍(姜泰泓)[~1988년 5월 18일], 제25대 안상영(安相英)[~1990년 12월 27일], 제26대 김영환(金英煥)[~1992년 12월 15일], 제27대 박부찬(朴富贊)[~1993년 3월 3일], 제28대 정문화(鄭文和)[~1994년 9월 23일], 제29대 김기재(金杞載)[~1995년 6월 30일], 제30대 문정수(文正秀)[~1998년 6월 30일; 민선 제1기], 제31·32대 안상영[~2003년 10월 24일; 민선 제2, 3기], 제33~35대 허남식(許南植)[~2014년 6월 30일, 민선 4~6기], 제36대 서병수(徐秉洙)[~2018년 6월 30일, 민선 7기], 제37대 오거돈(吳巨敦)[~2020년 4월 22일, 민선 8기]에 이어 2021년 4월 8일부터 박형준이 제38대 시장을 맡고 있다.
3. 주요 행정 조직
미군정기 부산부의 행정 기구는 부윤[부윤실], 인사과, 총무실, 내무국[회계과, 학무과, 호적과, 세무과], 산업공영국[토목과, 수도과, 상공과, 농무과], 보건후생국[의정과, 위생과, 후생과, 부립 병원], 동래출장소·부산진출장소·수영출장소·사하출장소 등으로 편성되었다. 1957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부산시의 행정 기구는 시장[부시장], 총무국[서무과, 시정과, 사계과, 상공과, 농림과, 양정과], 재무국[세무과, 회계과], 사회국[사회과, 보건과], 건설국[토목과, 도시계획과, 수도과], 주택국[주택과, 관리과], 각 구청[출장소] 등으로 재편되었다. 5·16 쿠데타 이후 1962년 4월 20일 부산시의 행정 기구는 시장[부시장], 총무국[공보과, 총무과, 시정과, 사계과], 재무국[세무과, 회계과], 보건사회국[사회과, 보건과, 주택과], 산업국[상공과, 농림과, 양정과, 수산과], 건설국[건설과, 관리과, 도시계획과, 수도과], 교육국[교육과, 학교관리과], 시립 병원, 각 구청, 출장소 등으로 재편되었다.
제3공화국 시기에는 1963년 1월 1일 정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부산시의 행정 기구는 시장[부시장], 공보실, 감사실, 기획조정관, 내무국[총무과, 인사과, 시정과, 사계과, 관광 운수과], 재무국[세무과, 회계과, 관재과], 교육국[학교 관리과, 중등 교육과, 초등 교육과, 재정과], 보건사회국[사회과, 보건과, 청소과], 산업국[상공과, 농림과, 양정과, 수산과], 건설국[도시과, 토목과, 구획정리과, 주택과], 수도국[업무과, 시설과, 급수과], 경찰국[경무과, 보안과, 경비 통신과, 수사과, 정보과], 농촌지도소, 각 구청 등 2실 8국 31과로 편성되었다.
1964년 3월 11일 기획조정관과 감사실을 통합하여 기획감사실을 신설하고 보건사회국 청소과를 폐지하고 위생과를 신설하여 2실 7국 27과로 변경되었으며, 1964년 3월 12일 산업국 상공과가 상공국[공업과, 상정과, 수출진흥과]으로 승격·신설되어 2실 8국 29과로 변경되었다. 1969년 1월 1일 건설국 도시과가 도시계획국[계획과, 구획조정과, 건축과]으로 승격·신설되어 2실 9국 3담당관 37과로 변경되었고, 1970년 6월 4일 건설국이 건설국[관리과, 하수과, 주택과]과 도로국[도로과, 관광 운수과]으로 분국되어 2실 10국 4담당관 41과로 변경되었다. 1972년 6월 1일 상공국이 산업국[공업과, 상정과, 농림과, 양정과, 수산과]으로 통합되고, 도로국이 폐지되고, 경찰국 소방과가 소방본부로 승격·신설되어 2실 9국 1본부 5담당관 40과로 변경되었다.
제4공화국 시기에는 1972년 8월 21일 환경순찰대 신설, 1974년 10월 23일 지방공무원 교육원 신설, 1975년 5월 16일 감사실 신설, 1975년 8월 26일 민방위국[민방위과, 교육 훈련과] 신설 등으로 3실 10국 1본부 1원 1대 6담당관 46과로 변경되었고, 1977년 2월 17일 상공국[상정과, 공업과, 수출진흥과]이 신설되어 3실 11국 1본부 1원 1대 6담당관 48과로 변경되었다. 1979년 5월 1일 환경순찰대가 폐지되어 3실 11국 1본부 1원 11담당관 49과로 변경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제2부시장제가 실시되어 제1부시장[기획관리실, 공보실, 감사실, 내무국, 재무국, 보건사회국, 민방위국, 소방본부, 경찰국, 지방공무원교육원]과 제2부시장[산업국, 상공국, 도시계획국, 건설국, 수도국, 교통국, 농촌지도소]의 업무 분장과 함께 3실 11국 1본부 1원 9담당관 50과로 변경되었다.
제5공화국 시기 이후에는 1981년 11월 9일 제2부시장 폐지, 상공운수국으로 상공국과 교통국 통폐합, 공보실 폐지 등으로 2실 10국 1본부 1원 8담당관 48과로 변경되었다. 1987년 4월 1일 산업국과 상공운수국을 지역경제국[지역 경제과, 상정과, 공업과, 농정과, 양정과, 수산과]과 교통관광국[교통 기획과, 운수과, 관광과]으로, 수도국을 상하수국[업무과, 급수과, 시설과, 하수과]으로 각각 개편하여 2실 10국 1본부 1원 8담당관 40과로 변경되었다.
1988년 7월 20일 투자관리관을 신설하고, 보건사회국을 보건사회국[사회과, 보건과, 위생과, 환경 위생과]과 가정복지국[가정복지과, 부녀복지과, 청소년과]으로 분국하여 2실 10국[경찰국 제외] 1본부 1원 1관 9담당관 43과로 변경되었다. 1989년 9월 1일 상하수국이 상수도사업본부로 개편되고, 1991년 8월 1일 경찰국이 부산지방경찰청으로 분리되고 환경녹지국[환경보호과, 폐기물관리과, 녹지과, 공원과]이 신설되어 2실 11국 1본부 1원 11담당관 52과로 변경되었다. 1993년 7월 1일 민방위국이 기획관리실, 내무국으로 흡수되어 2실 10국 1본부 1원 11담당관 39과로 변경되었고 1994년 5월 16일 국제통상협력실이 신설되어 3실 10국 1본부 1원 12담당관 40과로 변경되었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에는 1995년 7월 1일 정무 부시장, 행정 부시장, 문화관광국[문화예술과, 관광진흥과, 국제협력과], 민방위재난관리국[민방위비상대책과, 재난관리과] 등이 신설되어 2실 11국 1본부 58과·관·담당관으로 변경되었고, 1996년 6월 14일 건설국을 건설하수국으로 개편하였다. 1998년 9월 15일 제1단계 구조 조정을 통해 감사실을 행정 부시장 산하 감사관으로, 내무국을 행정관리국[총무과, 자치행정과, 시민봉사과, 민방위비상대책과, 실업대책반]으로, 보건사회국과 가정복지국을 보건복지여성국[사회복지과, 노동복지과, 여성정책과, 보건위생과]으로, 지역경제국을 경제진흥국[경제정책과, 기업지원과, 투자진흥과, 국제통상과, 공업행정과]으로, 환경녹지국을 환경국[환경정책과, 환경보전과, 청소관리과, 하수관리과, 환경시설과]으로, 건설하수국과 건설국을 건설주택국[건설행정과, 도로계획과, 재난관리과, 주택행정과, 건축재개발과]으로 각각 개편하고 항만농수산국[항만개발과, 수산행정과, 수산진흥과, 농업행정과]을 신설하여 1실 9국 1본부 53과·관·담당관 11직속 기관 27사업소로 축소하였다.
2005년 2월 16일 경제진흥국을 경제진흥실로, 건설주택국을 건설방재국으로 개편했으며, 2006년 2월 1일 행정관리국을 행정자치국으로, 보건복지여성국을 복지건강국으로 변경하고 주택국을 신설하였다. 2007년 1월 31일 선진부산개발본부를 신설하여 2실 9국 2본부로 개편했으며, 2008년 7월 7일 제2단계 구조 조정을 통해 행정자치국을 폐지하고 기획관리실을 정책기획실로, 경제진흥실을 경제산업실로, 선진부산개발본부를 미래전략본부로, 문화관광국을 문화체육관광국으로, 도시계획국을 도시개발실로, 건설방재국과 주택국을 도시개발실 산하 건설방재관과 건축정책관으로 각각 개편하였다.
2010년 7월 6일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통해 정무 부시장을 경제 부시장[경제산업본부, 투자기획본부]으로, 경제산업실을 경제산업본부로, 미래전략본부를 도시개발본부로, 도시개발실을 창조도시본부로, 환경국을 환경녹지국으로 각각 변경하고, 행정자치국과 투자기획본부를 각각 신설하여 1실 6국 5본부로 개편하였다. 2011년 12월 28일 투자기획본부를 폐지하고 경제산업본부에 산업정책관을 신설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관리, 조례와 규칙의 제정, 예산의 편성과 집행, 지방세 부과와 징수, 국가 재산의 관리, 호적과 주민 등록 관리, 복지 및 위생 사업, 환경 보호와 개선, 산업 진흥, 지역 개발, 재난 안전 관리 등의 행정 및 민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동북아 시대의 해양 수도를 위한 크고 강한 부산’이라는 구호 아래, 풍요로운 신경제, 사람 중심 창조 도시, 함께하는 선진 복지, 매력 있는 생활 문화, 글로벌 일류 부산 등을 민선 5기 시정 비전으로 하고 20대 전략, 100대 공약 사업을 제시하여 추진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시장[제35대 허남식, 민선 제5기] 아래, 2명의 부시장[행정·경제], 정책기획실, 경제산업본부, 도시개발본부, 창조도시본부, 행정자치국, 복지건강국, 문화체육관광국, 교통국, 해양농수산국, 환경녹지국, 건축정책관, 산업정책관, 소방본부, 15개 직속 기관[소방서 11개, 소방학교,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농업기술센터], 25개 사업소[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부산광역시 건설본부, 부산광역시 낙동강사업본부, 부산광역시 서울본부, 부산광역시 여성회관, 부산광역시 여성문화회관, 부산광역시 아동보호종합센터, 부산광역시 차량등록사업소, 부산 문화 회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부산시립미술관, 부산광역시 충렬사관리사업소, 부산광역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부산광역시 금련산 청소년 수련원, 부산광역시 환경자원공원사업소, 부산광역시 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 부산광역시 건설안전시험사업소, 부산광역시 항만관리사업소, 엄궁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업소, 반여농산물도매시장 관리사무소, 국제수산물도매시장 관리사업소, 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부산광역시 화명 수목원 관리사업소,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등으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다.
관할 행정 구역은 중구·동구·영도구·서구·남구·북구·부산진구·사상구·사하구·수영구·동래구·연제구·금정구·강서구·해운대구·기장군 등 15개 자치구와 1개의 자치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할 면적은 768.41㎢이다. 공무원 수는 6,627명[선출직 1명, 의회 사무처 107명,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12명 포함, 자치구·군 제외]이며 담당 인구수는 358만 6,079명[외국인 3만 5,116명 포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