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632 |
---|---|
한자 | 釜山廣域市機張郡廳 |
영어공식명칭 | Kijanggun Office Busan Metropolitan City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560[신천리 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세화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에 있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관할 자치 행정 기관.
[개설]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은 기초 지방 자치 단체인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대표 기관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행정과 민원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주민 복지 증진과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86년 11월 1일 5개 읍·면[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으로 개편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설치된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가 전신이다. 1995년 3월 1일 기장군이 부활[양산군에서 분리]하여 부산광역시에 편입됨에 따라,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으로 기장읍 교리의 구 동부출장소 청사에서 개청하였다. 2000년 1월 31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의 현 청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역대 기장군수는 제1대 손헌식[~1995년 6월 29일], 제2대 오규석[~1998년 4월 28일; 민선 제1기], 제3대 최현돌[~2010년 6월 30일; 민선 제2기, 제3기, 제4기] 등이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행정 구역 관리, 조례와 규칙의 제정, 예산의 편성과 집행, 지방세 부과와 징수, 국가 재산의 관리, 호적과 주민 등록 관리, 복지 및 위생, 환경 보호와 개선, 산업 진흥, 지역 개발, 재난 안전 관리 등의 행정 및 민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유라시아를 잇는 빛의 실크로드 ‘빛의 도시’, 수산 해양 과학 기술 르네상스 실현 ‘물의 도시’, 일자리[Job]와 쉴 자리[Entertainment]가 넉넉한 ‘꿈의 도시’를 통한 ‘전통과 첨단이 조화되는 빛과 물, 그리고 꿈의 도시 기장’이라는 목표 아래, 찾아가는 현장 행정, 움직이는 감동 행정, 인재 육성 교육 행정, 풍요로운 경제 행정, 함께하는 복지 행정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11년 11월 14일 제1회 대한민국 지방 자치 단체 생산성 대상에서 최우수상[2위] 및 으뜸 행정상을 수상하였다.
[현황]
2012년 현재 군수[제4대 오규석, 2010년 7월 1일~현재, 민선 제5기] 아래 부군수, 기획감사실, 복지지원실, 총무과, 미래전략과, 인재양성과, 문화관광과, 세무과, 민원봉사과, 재난안전과, 환경위생과, 농림과, 해양수산과, 교통경제과, 건축과, 건설과, 토지관리과, 보건소[보건행정과], 농업기술센터, 기장도서관 등으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으며 438명의 공무원이 근무 중이다. 행정 구역은 218.27㎢[부산광역시 전체의 28.45%]의 면적에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읍, 철마면 등 3읍·2면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60개의 법정리, 161개의 행정리와 1,499개의 반 등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