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499 |
---|---|
한자 | 新川里 |
영어의미역 | Sincheon-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있는 법정리.
[명칭 유래]
신천리(新川里)의 명칭 유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지역에는 임진왜란 이전에 소부리[쇠부리] 마을이 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없어지고 새로 마을이 형성되어 새마슬 또는 신리(新里)로 부르고, 인근 치내[聚川]에 생긴 마을을 치내[신천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치천이라고도 하며 앞에 하천이 있어 붙여진 이름]로 불렀는데, 이 신리에서 ‘신(新)’ 자와 치내에서 ‘내 천(川)’ 자을 따서 붙여 신천리가 되었다고 한다. 다음으로는 「차성가(車城歌)」에 “백석청광(白石淸光) 맑은 물이 비가 개니 신천(新川)이라.”는 구절에서 신천의 지명 유래를 추정하기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신천리는 임진왜란 이후 형성되었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읍내면 신천리로 기록되어 있으며, 1895년(고종 32) 읍내면 신천동이 되었고, 1914년에는 동래군 기장면 신천리가 되었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하였고,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가 되었다.
[자연 환경]
기장읍의 북동쪽에 위치하여 북으로는 일광면, 남으로는 대변리, 동으로는 남부리와 청강리, 서로는 죽성리와 접한다. 북쪽에는 모산[100m], 남으로는 봉대산[229m]이 있고, 남쪽 봉대산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북쪽으로 흐르면서 덕발 저수지, 죽곡 저수지, 신천 저수지를 이루며 죽성천에 유입한다. 봉대산의 북쪽 산록에 거주지가 형성되어 있다.
[현황]
신천리는 법정리와 행정리가 일치한다.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1.59㎢이며, 인구는 62가구에 총 115명으로 남자가 61명, 여자가 54명이다. 북쪽의 죽성천 인근에는 환경 사업소가 있다. 자연 마을로 신천 마을과 치내 마을이 있다. 신천 마을을 신천리의 본 마을로 도로를 사이에 두고 웃각단, 아랫각단으로 나뉜다. 치내 마을은 신천 마을 북서쪽에 있으며, 조선 시대에 이곳에서 생산되는 인삼이 궁중에 진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신천리는 행정리와 법정리가 일치한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2.11.15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31일 현재 면적은 1.61㎢이며, 인구는 64가구에 총 117명으로 남자가 61명, 여자가 56명이다 |
2020.07.09 | 현행화 | 2019년 12월 31일 현재 면적은 1.61㎢이며, 인구는 67가구에 총 132명으로 남자가 68명, 여자가 64명이다 |
2019.05.08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09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