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044 |
---|---|
한자 | 禿旨場 |
영어의미역 | Dokji Market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지명/고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연지 |
[정의]
조선 후기 현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평동 일대에 개설되었던 오일장.
[개설]
장시는 상인들과 일반민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물화의 교역장이다. 지방의 장시는 월 6회씩 5일 간격으로 개시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장시의 발달은 국지적인 시장권 형성과 함께 각 도를 넘어서 전국적으로 지역 간 물화 유통의 발달을 가져왔다. 독지장(禿旨場)은 좌수영장[5일, 10일], 부산장[4일, 9일], 동래 읍내장[2일, 7일], 하단장[5일, 10일]과 함께 동래 지역의 5일장 체계를 이루었다. 또한 위치적 특성을 보면 김해 지역과도 교역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이므로 꽤 큰 장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독지장에서는 현 사하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과 바다의 어류, 장림에서 생산된 소금, 수공예품 등이 교역되었다.
[명칭 유래]
독지는 마을 앞에 외딴 산, 즉 독뫼[獨山]가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오늘날 사하구 구평동의 옛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 독지장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1770년 이전에 장시가 형성되었는데 1일, 6일에 열리는 오일장이었다. 현재에는 열리지 않고 있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1932년 간행된 『동래부 읍지(東萊府邑誌)』 방리조(坊里條)에 보면 사천면(沙川面)의 독지리(禿旨里)를 ‘관문에서 거리 43리’라 하고, 서평리(西平里)를 ‘관문에서 거리 49리’라고 한 것으로 보아 독지장은 오늘날의 구평동 북쪽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