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630 |
---|---|
영어공식명칭 | Renault Korea Motors Co., Ltd.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르노삼성대로 61[신호동 18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재운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
[설립 목적]
르노코리아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분품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93년 6월에 삼성그룹 승용차 사업 진출이 공식화되었으며, 1994년 4월에 삼성중공업이 일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Nissan Motor Co., Ltd.]와 승용차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해 12월에 자동차 기술 도입 신고서가 제출 및 수리되었고, 1995년 1월에 삼성물산 자동차 사업부가 신설되었으며, 1995년 3월에 삼성자동차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4월에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서 삼성자동차 부산 공장의 기공식을 갖고, 1996년 10월에 준공하였다.
1998년 12월에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 간에 대규모 사업 교환[빅딜] 합의로 삼성자동차 부산 공장이 조업을 중단하였다. 그러나 1999년 6월에 대규모 사업 교환이 백지화되었고, 삼성자동차는 법정 관리를 신청하였다. 같은 해 7월에 삼성자동차 재산 보전이 결정되었다. 그해 10월에 삼성자동차 부산 공장이 월 2,000대씩 시한 재가동을 시작하였으며, 동년 12월에 삼성자동차의 법정 관리가 시작되었다. 채권단은 르노를 우선 협상 대상자로 지정하였다.
2000년 4월에 채권단이 르노 측의 최종안을 수용하여 삼성자동차 인수 협상이 타결되었다. 그해 7월에 Renault Group BV와 삼성카드의 합작 투자 계약에 의거하여 르노삼성자동차가 설립되었으며, 본사를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으로 이전하였다. 2001년 12월에 제1회 외국 기업의 날 은탑 산업 훈장을 받았고, 2002년 10월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부품 센터를 증축하였다.
2003년 6월에는 ISO 9001:2000[국제표준화기구에서 2000년에 개정한 품질 경영 시스템에 관한 국제 규격] 및 ISO 14001[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에서 제정한 환경 경영 체제에 관한 국제 규격] 통합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5년 6월에는 2005 품질 경영 대상을 받았고, 2007년 12월에 노사 문화 대상 국무총리상 및 한국 재무 혁신 기업 대상을 받았다.
2022년 4월 1일 르노삼성자동차에서 사명을 르노코리아자동차로 개칭했으며, 2024년 4월 3일 르노코리아자동차에서 사명을 르노코리아로 개칭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르노코리아는 승용차 및 기타 여객용 자동차, 자동차 부분품의 생산·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르노코리아 부산 공장은 연간 30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개발과 생산 단계에서 공동 품질 기준 체계인 ANPQP[Alliance New Product Quality Procedure]와 AVES[Alliance Vehicle Evaluation Standard]를 갖추고 있다. 차량의 고유 번호와 차량에 조립된 중요 부품의 실별 번호를 차량 조립 과정에서 전산 시스템상에 등록 관리하고 있다. 중요 부품에서 문제점이 발생되거나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때는 차량을 추적하여 신속 정확하게 조치한다.
주행 검사를 통해 주행상의 문제점이나 이음, 소음 문제를 검사하고 개선 조치를 통해 품질이 확보된 차량을 판매하고 있다. 라인 스톱제를 적용하여 작업자 누구라도 결함이나 이상을 발견하는 즉시 라인 공정을 멈추고 공정 책임자의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정 작업자와 체크 맨, 검사원, 감독자가 5단계로 품질을 확인하는 5중 품질 체크 체제를 실시하고 있다.
르노코리아의 중앙 연구소는 환경 친화적인 설계 프로그램으로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다. 재활용을 고려한 설계 지침과 부품의 재질에 대한 기호 표기 시스템, 유해 물질 대체 재료 개발 시스템을 통해 부품과 차량의 설계 단계부터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다국적 기술진을 갖추고 닛산기술연구소와 르노테크니컬센터에 핵심 기술진을 파견하여 신 모델과 차세대 엔진의 공동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현황]
2012년 기준 르노코리아자동차의 경영진으로 대표 이사 1명, 사내 이사 6명, 감사 1명이 있다. 2012년 12월 기준 자본금은 4400억 원이며, 매출액은 3조 6441억 7800만 원이다. 상시 종업원 수는 4,577명이다.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에 본사와 부산 공장이 있다.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에 서울 사무소가 있으며, 영업 본부와 기획 프로그램 본부, 홍보 본부, 재무 본부, HR 본부가 있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는 중앙 연구소가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 시민의 호응을 얻으며 출범한 삼성자동차가 법정 관리를 받게 되었을 때 부산 지역에서 ‘삼성차 살리기 운동’이 펼쳐졌으나 운동에 반대하는 시민, 시민 단체 간의 갈등이 존재하였다. 이후 르노삼성자동차로 설립되면서 지역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