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48
한자 上水道
영어의미역 Waterwork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정의]

먹는 물이나 공업, 방화 등에 쓰는 물을 관을 통하여 보내 주는 부산광역시의 수도 설비.

[개설]

상수도는 원수(原水)[음용(飮用)·공업용 등으로 제공되는 자연 상태의 물]나 정수(淨水)[원수를 음용·공업용 등의 용도에 맞게 처리한 물]를 공급하는 수도 시설이다.

[상수도 연혁]

부산 지역의 상수도 시설은 1886년 보수천 상류에 죽관(竹管)을 이용한 소규모 도수 시설을 설치한 것이 시초이며, 우리나라 최초이다. 1894년 대청동에 배수지를 설치, 1900년에서 1902년까지 구덕 수원지를 축조한 것이 현대식 상수도 시설의 시발이며 이는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1908년부터 1910년까지 성지곡 수원지의 축조 및 복병산 배수지를 축조하였다. 1920~1922년 성지곡구덕 수원지를 확장하였다. 1923~1924년 구덕 수원지의 높이를 높였다[증고(增高)]. 1926~1932년 범어사 정수장, 법기 수원지수정동 배수지를 신설하였다.

1940~1946년 회동댐 및 명장 정수장을 준공하였다. 1946~1950년 명장 정수장을 확장하였다. 1950년 하루 4만 5,000㎥를 생산하였다. 1957~1958년 명장 정수장을 확장하였다. 1961~1965년 제1차 상수도 확장 사업으로 오륜동 정수장을 신설하였다. 1966년 명장 정수장을 확장하고 회동댐 높이를 높였다[제1차 상수도 확장 사업]. 1966년 1월 24일 제2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위한 독일재건은행[KFW, Kreditanstalt FÜR Wiederaufbau] 차관 협정을 체결하였다[1500만 도이치 마르크].

1967년 명장 정수장을 확장하였다. 1968년 5월 2일 구덕 수원지를 폐쇄하였다. 1970년 4월 15일 제2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준공하였다. 1971년 명장 정수장을 증산하였다. 1971년 5월 27일 성지곡 수원지를 폐쇄하였다. 1972년 6월 24일 제3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착공하였다.

1972년 7월 10일 제3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위한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 차관 협정을 체결하였다[4백만 달러]. 1973년 명장 정수장을 증산하였다. 1974년 7얼 1일 오륜동 정수장을 증산하였다. 1975년 8월 29일 화명 정수장 조기 생산 통수 및 화명 정수 관리소를 개소하였다.

1976년 4월 26일 제3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준공하였다. 1978년 4월 1일 제4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착공하였다. 1979년 5월 25일 제4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위한 아시아개발은행 차관 협정을 체결하였다[1500만 달러]. 1979년 12월 7일 제4차 상수도 확장 사업 10만㎥를 조기 증산하였다[화명 정수장]. 1980년 12월 31일 제4차 상수도 확장 사업 8만㎥를 조기 증산하였다.

1982년 11월 27일 제4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준공하여 하루 94만 5,000㎥를 생산함으로써 1인당 하루 급수량이 250ℓ[급수 보급률 90%]로 향상되었다. 1982년 12월 31일 한발 대책 비상수원 개발 사업에 착공하였다. 1983년 5월 3일 한발 대책 비상수원 개발 사업을 준공하였다. 1983년 5월 3일 제5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착공하였다. 1983년 10월 11일 제5차 상수도 확장 사업을 위한 일본 해외경제협력기금[OECF, Overseas Economic Cooperation Fund] 차관 협정을 체결하였다[57억 엔].

1985년 1월 10일 성지곡 수원지[전용 공업용수]를 폐쇄하였다. 1985년 7월 31일 낙동강 수관교를 준공하였다. 1987년 8월 17일 화명 정수장 오존 처리 시설을 착공하였다. 1989년 8월 27일 제5차 상수도 확장 사업 1단계를 준공하여 일 55만 5,000㎥를 증산하였다. 1989년 2월 18일 화명 정수장 오존 처리 시설을 완공하였다. 1989년 3월 22일 제5차 상수 확장 사업을 준공하여 제5차 계 105만 5,000㎥[급수 보급률 98%]를 증산으로 하루 총 생산량이 200만㎥로 1인당 하루 급수량이 360ℓ가 되었다. 1990년 8월 1일 덕산 정수장 슬러지 처리 시설 1단계를 완공하였다.

서낙동강권 개발 및 시역 확장, 시민 생활 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한 급수난 해소를 위해 1991년 9월 4일 제6차 상수도 확장 사업[1단계]이 착공되었다. 1991년 12월 9일 덕산 정수장 오존 처리 시설이 1차 착공하였다. 1992년 4월 7일 화명 정수장 입상 활성탄 처리 시설을 착공하였다. 1993년 12월 3일 덕산 정수장 슬러지 처리 시설 2단계를 착공하였다. 1993년 12월 30일 전용 공업용 수도 사업 1단계를 착공하였다. 1994년 4월 6일 화명 정수장 입상 활성탄 처리 시설을 완공하였다.

1995년 3월 31일 덕산 정수장 슬러지 처리 시설을 2단계 완공하였다. 1995년 8월 11일 제6차 상수 확장 사업[1단계]이 준공되었다. 1996년 12월 30일 덕산 정수장 1차 입상 활성탄 처리 시설을 착공하였다. 1997년 7월 30일 전용 공업용수 1단계 통수가 시작되었다. 1997년 9월 1일 기장군 내 정수장 시설을 증설하였다. 1998년 7월 30일 명장 정수장 오존 처리 시설을 준공하였다. 1998년 11월 7일 입상 활성탄 재생 설비 공사를 착공하였다. 1999년 9월 24일 덕포 가압장을 폐쇄하였다. 1999년 12월 15일 명장 정수장 입상 활성탄 처리 시설을 준공하였다.

2000년 2월 18일 덕산 정수장 2단계 오존 및 입상 활성탄 처리 시설을 착공하였다. 2000년 6월 29일 기장군 정수장 3개소[서부 정수장, 동부 저수장, 이천 정수장]를 폐쇄하였다. 2001년 2월 9일 명장 정수장 정수 시설 개량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1년 4월 19일 덕산 정수장 1단계 입상 활성탄[석탄계 유연탄] 시설을 준공하였다. 2001년 5월 14일 입상 활성탄 재생 설비를 준공하였다. 2001년 11월 14일 화명 정수장 기설 여과지 개량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1년 12월 31일 기장군 정수장 노후 여과 시설을 폐쇄하였다. 2002년 7월 22일 기장군 신평 정수장을 폐쇄하였다. 2002년 8월 9일 가덕도에 상수도를 공급하였다. 2002년 12월 19일 수정산 터널 배수지 설치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3년 2월 17일 명장 배수지 설치 공사가, 2003년 3월 25일 전포 1 배수지 확충 공사가, 2003년 3월 26일 문현고지 배수지 설치 공사가, 2003년 4월 16일 상수도 종합 청사 건립 공사가 각각 착공되었다. 2004년 7월 26일 문현고지 배수지 설치 공사가, 2004년 9월 30일 화명 정수장 기설 여과지 개량 공사가, 2004년 11월 24일 전포 1 배수지 확충 공사가 각각 준공되었다. 2004년 12월 1일 수질연구소가 국제 공인 시험 기관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4년 12월 11일 덕산 정수장 중앙관리실 설치 공사를, 2004년 12월 22일 명장 정수장 정수 시설 개량 공사를 준공하였다.

2005년 6월 10일 수질연구소가 원생동물 공인 검사 기관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5년 6월 30일 물금 취수장 취수구 정비 공사를 준공하였고, 2005년 7월 15일 병입 수돗물 ‘순수’ 자체 생산 시설을 덕산 정수장 내에 준공하였다. 2005년 7월 27일 꽃마을 배수지 확충 공사를 준공하였다. 2005년 12월 23일 상수도 종합 청사를 개청하였다. 2006년 5월 15일 명장 배수지 설치 공사를 준공하였다. 2006년 11월 22일 오륜, 월내 정수장을 폐쇄하였다. 2007년 2월 2일 수정산 터널 배수지 설치 공사를 준공하였다. 2007년 5월 20일 화명 정수장 입상 활성탄 여과지 정비 공사를 준공하였다. 2007년 10월 15일 금곡 배수지 설치 공사를 착공하였다. 2007년 12월 5일 기장군 좌천 정수장을 폐쇄하였다.

[상수도 개선 사업]

부산 지역 수원의 수질이 날로 악화되고 시민 생활 수준 향상에 따른 상수도 수질개선 욕구에 부응하고자 고도 정수 처리 시설을 도입하여 1989년부터 화명 정수장에 오존 처리 시설을 가동하고 있다. 상수도 시설 확장과 맑은 물 공급을 위해 2007년에 화명 정수장 입상 활성탄 여과지 정비 공사를 준공하였고, 매리 및 물금 취수장 침사 처리 시설 공사를 준공하였다. 2008년 연산 배수지 설치, 정관 지방 산업 단지 및 장안 산업 단지 용수 인입 시설 공사 준공, 부산 신항 상수도 공급 등의 사업을 완료하여 시민들에게 값싼 양질의 물을 공급하고 산업 단지에 공업용수를 제공하고 있다. 2008년 말 현재 총 시설 용량 2,643㎡/일의 상수도 공급 능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2008년 말 현재 하천은 48개[국가 4, 지방 44]로 연장 251㎞이며, 2008년에는 좌광천, 일광천 등 12개소의 하천을 정비하였다.

[상수도 관련 기관 연혁]

1954년 4월 26일 경상남도 부산시 수도과가 설치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 승격으로 수도국을 설치하였다. 1966년 9월 1일 상수도시설관리소, 중부수도사업소, 북부수도사업소, 동래수도사업소를 개소하였다. 1969년 4월 1일 명장정수지소에서 명장정수관리소로 승격하였다. 1975년 8월 29일 화명정수관리소를 개소하였다. 1975년 9월 30일 4개 수도사업소를 7구 수도과, 2출장소 수도계로 직제 개편하였다.

1976년 6월 1일 해운대출장소 수도계를 신설하였다. 1977년 4월 1일 남구, 북부출장소에서 사용료 부과 전산 처리를 시행하였다. 1978년 2월 15일 북부출장소 수도계를 북구 수도과로 직제 개편하였다. 1978년 6월 1일 시 전역에 사용료 부과 전산 처리 실시를 하였다.

1979년 5월 1일 사하, 해운대출장소 수도계를 수도과로 직제 개편하였다. 1986년 7월 23일 덕산정수관리소를 개소하였다. 1987년 11월 16일 덕산정수관리소 전산계를 신설하였다. 1988년 10월 1일 상수도 사용료 통합 공과금을 위탁 처리하였다.

1989년 9월 1일 부산직할시 상수도사업본부가 발족하였다. 1991년 4월 25일 부산직할시 수질검사소를 개소하였다. 1993년 7월 16일 조직을 개편하여 관리국을 폐지하였다. 1994년 4월 30일 조직을 개편하여 1담당관, 4부 13계, 17사업소가 되었다. 1994년 10월 1일 통합 공과금에서 분리하여 자체 고지를 하게 되었다. 요금2계를 신설하고 5개 사업소를 설치하였다[부산진, 동래, 남부, 북부, 사하사업소].

1995년 3월 1일 기장군 설치에 따라 조직을 개편하였다. 해운대사업소 기장수도계를 신설하고 기장군 정수장 6개소를 편입하였다. 1996년 7월 1일 조직 개편으로 1사업소 6계를 신설하고, 4계가 폐지되었으며, 10계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7년 1월 1일 공업용수도사업소를 신설하였다[일 20만 톤 생산]. 1997년 7월 18일 본부 조직을 개편하여 1부 4계를 폐지하고 1계를 신설하였다. 1998년 9월 15일 조직을 개편하여 3부 18사업소가 되었다. 1999년 7월 29일 조직을 개편하여 차장제를 폐지하고 과제를 신설하였다. 1999년 12월 15일 명장 정수장 입상 활성탄 처리 시설을 준공하였다[일 27만 7,000톤].

2000년 1월 6일 기장군 상수도를 보급하였다. 2004년 11월 19일 명장 정수장 선진화 사업을 준공하였다. 2005년 11월 15일 부산광역시 상수도 종합 청사를 준공하였다. 2006년 2월 1일 직제를 개편하여 4부 11과 1실 17사업소가 되었다. 2006년 9월 30일 상수도 종합 상황실 구축을 완료하였다.

2007년 1월 31일 조직을 3부 11팀 17사업소로 개편하였다. 2007년 2월 2일 수정산 터널 배수지를 준공하였다[일 4만 톤]. 2007년 7월 1일 조직을 개편하였다. 2008년 8월 8일 연산 배수지를 준공하였다[일 1만 톤]. 2008년 11월 28일 덕산 정수장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였다[133㎾/h].

2010년 12월 31일 2단계 노후 상수도관 개량 사업을 완료하고 블록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2011년 4월 1일 전 사업소에 검침 민간 위탁을 확대 실시하였다. 2011년 6월 1일 해수 담수화 R&D 사업을 착공하였다. 2011년 6월 30일 신평 배수지를 준공하였다. 2011년 9월 29일 오륜 배수지를 준공하였다. 2012년 10월 4일 수질 연구소 ‘미량 물질 분석 센터’를 설치하였다.

[시설 현황]

부산광역시 상수도의 수원은 회동, 법기 2개 수원지와 매리, 물금 및 공업용수 3개 취수장이 있다. 1902년에 축조하여 하루 2,000㎥씩 생활용수를 공급하던 구덕 수원지는 그 역할이 미약하여 1968년에 폐쇄하였고, 성지곡 수원지도 주변 일대가 유원지로 시민에게 개방됨에 따라 1971년부터 전용 공업용수로 공급하다가 1985년 1월 10일부터 전면 폐쇄하였다. 급수를 위한 1일 취수 능력은 낙동강에서 277만 5,000㎥, 수원지에서 34만 9,000㎥, 총 312만 4,000㎥를 취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배관은 2012년 말 기준 도수관, 송수관, 배수관 등 총 연장이 8,342㎞에 달하며 노후 상수도관 개량 사업과 균형적이고 안정적인 급수를 위한 순환 관로 부설 등 최적 관망 형성에 역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가압장과 배수지는 고지대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시설로서 현재 배수지 68개소 48만 8,000㎥, 가압장 및 송수 시설 121개소, 총 8만 7,664HP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시역 내 급수난 완전 해소를 위해 연차적으로 시설 확장 및 정수장 간 급수 계통 정비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참고문헌]
  • 『2012 시정 백서』(부산광역시, 2012)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http://water.busan.go.kr)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 지방 공기업 경영 정보 공개 시스템(http://www.cleaney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