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416 |
---|---|
한자 | 大衆交通料金制度 |
영어의미역 | Busan Public Transport Fare System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성범 |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의 요금 제도.
[개설]
부산광역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대중교통 수단은 시내버스, 좌석 버스, 급행 버스, 심야 버스, 마을버스, 도시 철도[지하철], 경전철 등이 있으며 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은 버스와 도시 철도이다.
[1980년대 이후 버스 요금의 변화]
1980년 부산의 시내버스 요금은 80원, 좌석 버스 요금은 300원이었다. 2012년 현재의 시내버스 요금은 1,200원[교통 카드 1,080원], 좌석[급행] 버스 요금은 1,800원[교통 카드 1,700원], 심야 버스 요금은 1,600원[교통 카드 1,480원], 심야 좌석 버스 요금은 2,200원[교통 카드 2,100원] 등이다. 약 30년의 기간 동안 19차례에 걸쳐 시내버스의 경우 1,500%, 좌석 버스의 경우 600% 인상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1980년대 이후 도시 철도 요금의 변화]
1985년 7월 19일 부산의 도시 철도[지하철] 개통 시 요금은 1구간 170원, 2구간 220원, 3구간 250원이었다. 2012년 현재의 도시 철도 요금은 1구간 1,100원, 2구간 1,300원이다. 약 27년의 기간 동안 11차례에 걸쳐 1구간 요금은 약 647%, 2구간 요금은 약 590% 인상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대중교통 요금 관련 정책의 변화]
부산광역시에서는 승용차의 급속한 증가와 대중교통 이용 승객의 지속적 감소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 2007년 5월 15일 대중교통 50년의 혁명적 시책인 시내버스 준공영제, 2008년 7월 2일 시내버스·지하철·마을버스 간 환승 할인제, 2011년 5월 21일 부산-김해-양산 광역 환승 할인제 등을 시행하여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가 증진되었고, 교통비 부담이 감소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도 2005년 38.9%에서 2011년 42.4%로 증가했으며,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도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전에 비해 19.7% 상승하였다. 이후 시민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2010년 9월 ‘후불제 복지 카드’의 도입과 ‘어린이 교통 카드’ 등의 제도 개선을 시행하였다.
[대중교통 요금 현황]
2011년의 연평균 1일 버스 통행량은 173만 통행으로 전체 통행량 중 26.1%를 차지하고, 도시 철도는 106만 4000통행으로 16.1%, 경전철 1만 5000통행으로 0.2%를 각각 차지해,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은 42.4%를 나타내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대중교통 요금은 마을버스를 제외한 모든 요금이 전 지역에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마을버스 요금은 구·군별로 현금과 교통 카드 사용 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