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417
한자 釜山交通-
영어의미역 Busan Transportation Care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성범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하는 전자 화폐.

[개설]

부산 교통 카드는 부산광역시에서 교통수단 탑승 및 이용을 위해 사용되는 전자 화폐의 일종으로서 현금, 수표, 신용 카드 등 기존의 화폐와 동일한 가치를 지니는 디지털 형태의 카드이다. 교통 카드는 현금 지불에 대한 불편 및 승하차 시간 지체 문제 해소와 운송 업체의 경영 효율화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버스와 지하철에 대해 동시에 상용화된 선불식 교통 카드인 ‘하나로 카드’로 시작되었다.

[변천]

1996년 4월 지하철[도시 철도] 1호선과 시내버스 89번 노선 등에서 하나로 카드가 시범 운영되기 시작했고, 1998년 2월 3일 부산광역시의 버스·도시 철도에서 전면 시행되었다. 1998년 8월 20일 마을버스와 도시 고속 도로[통행료]로 확대되었고, 2000년 마이비 카드의 디지털 부산 카드가 출시되어 2개의 카드로 늘어나게 되었다. 2005년 5월 9일 마이비가 부산 하나로 카드를 인수했고, 2009년 롯데그룹이 마이비를 인수하여 모두 롯데의 계열사가 되었다. 캐시비 출시 이후 2012년부터 캐시비 기반의 하나로 카드가 발행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용 범위 및 방법]

부산 교통 카드는 하나로 카드, 마이비 카드, 캐시비 하나로 카드 등 3가지 종류가 있으며, 하나로 카드는 부산광역시의 전 지역과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사용 가능하고 마이비 카드는 부산광역시 전 지역과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울산광역시, 강원도, 경상남도·경상북도, 충청남도·충청북도, 전라남도·전라북도 등의 도시 철도, 경전철 및 버스에서 이용 가능하며 캐시비 하나로 카드는 전국에서 사용 가능하다. 충전은 하나로 카드는 부산광역시에서만 가능하고, 마이비 카드는 부산광역시와 서울특별시의 일부 장소에서만 가능하며, 캐시비 하나로 카드는 전국에서 가능하다.

부산 교통 카드는 교통 및 편의 시설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교통 부분에서는 버스[시내·좌석], 지하철, 마을버스, 택시, 시내 유료 도로[동서 고가 도로, 광안 대교] 및 터널[백양 터널, 수정 터널], 그리고 공영 주차장[주차 요금] 등에서 사용되며 유통·편의 시설에서는 시내 3,000여 곳에 설치된 비접촉식 자동판매기에서 사용 가능하고 스포츠 시설인 사직 야구장, 사직 농구장,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축구장] 등의 입장권 구매도 가능하다. 또한 영화관의 경우 롯데 시네마 서면·사상점 등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로 카드는 일부 지역[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남구, 동구, 서구, 동래구]의 구청과 주민 자치 센터에 설치된 무인 민원 발급기에 민원 결제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부산 하나로 카드(http://www.busanhanaro.com)
  • 마이비 카드(http://www.mybi.co.kr)
  • 캐시비 카드(http://www.cashbee.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