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168
한자 民主抗爭記念館
영어의미역 Busan Memorial Hall for Democratic Uprisi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민주공원길 19[영주동 산10-1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선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시관
면적 5,278㎡[연면적]
전화 051-790-7400
준공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민주 공원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9년 10월 16일연표보기 -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1차 리모델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2차 리모델링
최초 설립지 민주 항쟁 기념관 - 부산광역시 중구 민주공원길 19[영주동 산10-16]지도보기
현 소재지 민주 항쟁 기념관 - 부산광역시 중구 민주공원길 19[영주동 산10-1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의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성된 기념관.

[건립 경위]

민주 항쟁 기념관은 1999년 10월 16일 개관한 민주 공원의 중심 시설로서, 부산의 민주화 운동사를 기리고 시민에게 민주주의 교육의 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변천]

‘늘 펼쳐 보임방’[상설 전시실]은 개관 이래 2003년 1차 리모델링, 2011년 2차 리모델링 등 두 차례의 전면 리모델링을 통하여 전시 형식과 전시물을 거의 교체하였다. ‘잡은 펼쳐 보임방’[기획 전시실]은 2003년 리모델링을 통하여 내부 시설을 전면 교체하였다.

[구성]

민주 항쟁 기념관의 건축 규모는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연면적 5,278㎡이다. 기념관의 중앙에는 시민 공모로 조성된 상징 조형물 ‘민주의 횃불’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상설 전시실과 기획 전시실이다. 상설 전시실은 부산의 민주화 운동 관련 내용을 자료와 함께 전시하고 있으며, 기획 전시실은 민주주의 현 순간의 과제를 주제로 다양한 전시가 연중 열리고 있다.

각종 공연과 행사를 위하여 419석의 중극장과 116석의 소극장이 마련되어 있다. 중극장[큰방]은 공연과 기념식은 물론 학술 심포지엄 등이 열리며, 소극장[작은방]은 돌출 가변형 무대를 갖추고 마당극을 비롯한 각종 춤이나 연극 공연 및 학술 세미나 등이 열리는 곳이다. 사료 보존실에는 총 3만 7500건이 넘는 사료가 보존되어 있는데, 민주화 운동 부문별 자료, 공판 자료, 유고 자료, 미술품 포스터[인쇄물], 기타[만화], 미술 자료, 사진, 도서, 구술 사료와 미분류 기록물로 분류되어 있다. 이외에 사무실, 식당, 회의실, 기념관 앞의 ‘가리사리 마당’, 2층 옥상의 ‘올바른 마당’과 ‘어렵살이 마당’, 3층 옥상의 ‘바람 마당’, 지하 1층의 기계실 등이 있다.

[현황]

민주 항쟁 기념관의 소유자는 부산광역시이고, 관리자는 사단법인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