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923 |
---|---|
한자 | 釜山棟岩學校 |
영어공식명칭 | Busan Dongam Special School |
이칭/별칭 | 동암학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톳고개로 48[연산동 10-5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남진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사립 특수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사회 적응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켜 자립·자활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훈은 ‘내가 할 일은 내가 한다’이다.
[변천]
1981년 1월 12일에 동암학원[1980년 5월 14일 설립 인가] 산하 동암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3월 6일에 초등부 3학급이 개교하였고, 1987년 3월에는 중학부 2학급이 개교하였다. 1998년 3월 1일에 부산동암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 3월 4일에는 고등부 1학급이 개교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초등학교 제27회, 중학교 제24회, 고등학교 제8회, 전공과 제4회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동암학교의 교육 중점 과제는 몸과 마음이 튼튼한 사람, 서로 돕고 배려하는 사람, 열심히 배우고 익히는 사람, 자립·자활하는 사람, 예의 바르고 즐겁게 생활하는 사람 육성이다. 교육 과정 편성은 정신 지체·정서 장애 특수 학교 교육 과정 기준의 목표 및 편성 방향과 취지에 부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초등학교는 일상적인 신변 생활에 중점을 두어 교육하고,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자립 생활에 중점을 두어 구성한다.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실제 생활 경험과 관련된 실천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각 교과와 재량 활동, 특별 활동 간의 상호 관련성과 학교 급별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수준별 편성을 통해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특별 활동과 재량 활동으로는 학생 선택형 부서별 계발 활동과 주제별 현장 체험 학습 등을 실시하고 있다. 학교 특성화 사업으로 운영되는 코끼리합주단이 2009년 10월에 대전에서 열린 제2회 전국 장애 학생 음악 콩쿠르 대회 합주 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정상철/작곡 김동조]
잔뫼산의 기슭에 우뚝 솟은 곳/ 우리들의 정다운 배움의 터전/ 스승의 가르침 잘 받들어/ 그 이름 빛내자 우리의 동암.
2. 교목: 소나무이다.
3. 교화: 동백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4학급에 164명[남 114, 여 50]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초등학교는 9학급에 49명[남 35, 여 14], 중학교는 7학급에 44명[남 31, 여 13], 고등학교는 6학급에 51명[남 33, 여 18], 전공과는 2학급에 20명[남 15, 여 5]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2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9명으로 총 83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614㎡로, 이 중 교사 대지 면적이 3,382㎡, 체육장 면적이 2,450㎡, 부속 토지 면적이 4,782㎡이다. 미술실, 음악실, 초등학교 체육실, 중학교 체육실, 고등학교 체육실, 직업 교육실, 컴퓨터실, 도서실, 과학실, 생활실, 가사실, 시청각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