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850 |
---|---|
한자 | 萇山驛 |
영어의미역 | Jangsan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지하 820[좌동 149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명표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도시 철도 2호선의 기점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포동·서면 등 주요 지역의 교통난이 심각하여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이후 부산은 북구·강서구의 성장과 남구·해운대구의 발전으로 시가지의 외연적 확장이 계속되며 동서 방향으로도 심각한 교통난을 보이게 되었다. 이에 동서축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기 위하여 2호선을 건설하게 되었다. 이어 대도시 부산과 주변지역인 양산이 하나의 대도시권을 형성하면서 부산과 양산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부산 도시 철도 2호선 연장 양산선까지 건설되며, 부산은 도시 철도 광역 대중교통 시대를 열게 되었다. 장산역(萇山驛)은 2호선의 기점역으로 해운대 신시가지와 도심을 연결함으로써 신시가지 내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장산역은 1994년 10월 27일에 서면~장산 간 16.3㎞ 구간에 해당하는 도시 철도[지하철] 2호선 2단계 구간의 공사와 더불어 착공에 들어가, 2002년 8월 29일에 개통하였다. 장산역은 2호선 기점역인데, 앞으로 장산역을 거쳐서 기장의 동부산 관광 단지까지 연장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구성]
장산역은 총 14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하에 모두 2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하 1층은 대합실이고, 지하 2층은 승강장이다. 장산역에는 자전거 보관소, 엘리베이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로는 매표소, 역무실, 고객 서비스 센터, 승차권 발매기, 우대권 발급기, 만남의 장소, 매점, 남녀 화장실, 터널 대피 경로 등이 있다.
[현황]
장산역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장산역의 연간 승차 인원은 533만 573명이고, 일평균 승차 인원은 1만 4604명이다. 반면 연간 하차 인원은 506만 8842명이고, 일평균 하차 인원은 1만 3887명이다. 승차 인원 기준으로 도시 철도 2호선에 위치한 42개역 중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장산역은 해운대 신시가지, 장산, 대천 공원과 가깝다. 역 주변에는 해운대 백병원, 동백중학교, 좌동주민센터, 해운대우체국, 좌2파출소, 부흥초등학교, 부흥중학교, 신곡초등학교 등이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린다. 2012년에는 유니세프 홍보 캠페인, 아프리카 염소 보내기 시즌2, 사용하지 않는 헌 물건 기증 캠페인, 장애 아동 인식 개선 캠페인 등의 행사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