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43
한자 水營驛
영어의미역 Suyeong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677[광안동 107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753-4752
착공 시기/일시 1994년 10월 27일 - 수영역 착공
착공 시기/일시 1997년 11월 25일 - 착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2년 8월 29일연표보기 - 개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5년 11월 28일연표보기 - 개통으로 3호선과의 환승역이 됨
최초 설립지 수영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677[광안동 1077-1]지도보기
현 소재지 수영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677[광안동 107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도시 철도 2호선도시 철도 3호선의 환승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된 이후, 동서축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시 철도 2호선이 건설되었다. 1호선·2호선의 개통으로 부산은 도시 철도 광역 대중교통 시대가 열리게 되었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강서구가 부산과 김해·창원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거점으로 개발되었고, 여름철 휴양지로 인식되던 해운대와 수영으로의 인구 집중이 나타나면서 교통난이 심화되어 부산 도시 철도 3호선이 개통되었다. 수영역(水營驛)은 2호선 역으로 서면과 수영 지역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이후 3호선이 개통되며 환승역이 되어 동래 지역과 수영을 직접 연결하고 환승을 통해 해운대남천동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수영역은 1994년 10월 27일에 서면~장산 간 16.3㎞ 구간에 해당하는 도시 철도 2호선 2단계 구간의 공사와 더불어 착공에 들어가, 2002년 8월 29일에 개통되었다.

[변천]

도시 철도 3호선이 2005년 11월 28일에 개통되면서 도시 철도 2호선과 3호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구성]

수영역은 모두 16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하에 3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은 대합실이고, 지하 2층은 도시 철도 2호선 승강장, 지하 3층은 도시 철도 3호선 승강장이다. 수영역에는 물품 보관함,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터, 자동 사진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은 역무실, 매표소, 만남의 장소, 고객 서비스 센터, 터널 대피 경로, 화장실, 승차권 발매기, 도시 철도 경찰대, 우대권 발급기, 공중전화기 등이 있다.

[현황]

수영역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연간 및 일평균 승차 인원은 각각 434만 4928명과 1만 1904명이고, 연간 및 일평균 하차 인원은 각각 412만 707명과 1만 1290명이다. 도시 철도 2호선 42개 역 중에서 6번째로 승차 인원이 많다. 수영역수영만, APEC 나루 공원, 광안리 해수욕장, 금련산 등과 가깝다. 수영역 주변에는 수영 사적 공원, 광안 종합 시장, 수영초등학교, 수영구보건소, 부산광역시 남부 소방서, 센텀병원 등이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린다. 2012년에는 결손 가정 어린이 및 무의탁 노인 돕기 캠페인, 한민족 뿌리와 미래 역사 전시회, 장애 아동 인식 개선 캠페인 등의 행사를 열었고, 또한 유사한 행사들이 예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