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38
한자 釜田驛
영어의미역 Bujeon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86[양정동 87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803-3432
착공 시기/일시 1981년 6월 23일 - 착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5년 7월 19일연표보기 - 개통
개칭 시기/일시 2010년 2월 24일연표보기 - 부전동역에서 부전역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전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86[양정동 877]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전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86[양정동 87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도시 철도 1호선 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발달하고 있어,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서면, 연산동, 동래 등에 심각한 교통난을 유발함으로써 도시 철도 개통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남북축으로 이루어진 부산의 지리적 여건과 교통량이 가장 많은 중앙로를 중심으로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부전역[도시 철도]이 위치한 지역은 부산 시장, 부산 인삼 시장, 부산 종합 상가, 부산 전자 종합 시장 등 부산 최대 도매 시장이 있으며, 동해 남부선과 경전철, 중앙선의 시·종착역이며, KTX 역사로도 이용되는 부전역[철도]이 있어, 교통난의 완화와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건립되었다. 1981년 6월 23일에 노포~범내골 16.2㎞에 이르는 1호선 1단계 공사와 더불어 착공하여, 1985년 7월 19일에 개통하였다.

[변천]

처음에 부전동역으로 개통하였으나 2010년 2월 24일에 부전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구성]

부전역[도시 철도]은 모두 8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하에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은 대합실이고, 지하 2층은 도시 철도 1호선 승강장이다. 부전역[도시 철도]에는 물품 보관함,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은 역무실, 매표소, 매점, 화장실, 공중전화기 등이 있다.

[현황]

부전역[도시 철도]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부전역[도시 철도]의 연간 및 일평균 승차 인원은 각각 592만 4440명과 1만 6231명이고, 연간 및 일평균 하차 인원은 각각 579만 690명과 1만 5865명이다. 도시 철도 1호선 34개 역 중에서 11번째로 승차 인원이 많다. 부전역[도시 철도]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인 동해 남부선의 부전역과 아주 가깝다. 부전역[도시 철도] 주변에는 6·25 전쟁 이후 피난민이 모여들며 형성된 부산 시장, 부산 인삼 시장, 부산 종합 상가, 부산 전자 종합 시장 등이 있고, 전포초등학교, 항도중학교, 성전초등학교 등이 있다.

역사는 서면 지하상가를 통해 서면역과 연결되어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린다. 2012년에는 아동 학대 예방 캠페인, 장애 아동 인식 개선 캠페인, 노인 학대 예방 사진전 등의 행사가 열렸고, 유니세프 홍보 캠페인 등이 예정되어 있다. 부전역[도시 철도]에서 노포발 신평행 첫차 시간은 오전 5시 35분이고, 막차는 오후 11시 58분이다. 반면 신평발 노포행 첫차 시간은 오전 5시 39분이고, 막차는 밤 12시 2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