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37
한자 釜山鎭驛
영어의미역 Busanjin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350[초량동 1149-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시 철도 역
전화 051-462-1926
착공 시기/일시 1983년 7월 28일 - 착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7년 5월 15일연표보기 - 개통
최초 설립지 부산진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350[초량동 1149-2]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진역[도시 철도]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350[초량동 1149-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도시 철도 1호선 역.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길게 발달하고 있어,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서면, 연산동, 동래 등에 심각한 교통난을 유발함으로써 도시 철도 개통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남북축으로 이루어진 부산의 지리적 여건과 교통량이 가장 많은 중앙로를 중심으로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부산진역[도시 철도]은 철도역인 부산진역과 연결되어 있다. 부산진역[철도]은 2005년 4월에 여객 취급을 중단[현재는 화물 취급만 이루어짐]하기 전까지는 경부선 철도역이었으며, 동해 남부선 철도의 시발역으로 많은 이용객이 찾았다. 1983년 7월 28일에 범내골~중앙동 간 5.4㎞ 구간에 해당하는 도시 철도[지하철] 1호선 2단계 구간의 공사와 더불어 착공에 들어가, 1987년 5월 15일에 개통하였다.

[구성]

부산진역[도시 철도]은 총 8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지하에 모두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은 대합실이고, 지하 2층은 승강장이다. 부산진역[도시 철도]에는 물품 보관함, 휠체어 리프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역내 시설은 매표소, 역무실, 만남의 장소, 고객 서비스 센터, 남녀 화장실, 교통카드 충전기, 승차권 발매기, 우대권 발급기 등이 있다.

[현황]

부산진역[도시 철도]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부산진역[도시 철도]의 연간 승차 인원은 341만 2325명이고, 일평균 승차 인원은 9,349명이다. 반면 연간 하차 인원은 311만 5200명이고, 일평균 하차 인원은 8,535명이다. 승차 인원 기준으로 도시 철도 1호선 34개 역 중에서 23위를 차지하였다. 부산진역[도시 철도] 주변에는 부산일보사 사옥, 부산동부경찰서, 동구청, 부산진세무서, 부산국제영화학교, 경남여자중학교 등이 있고, 교통편으로는 한국철도공사의 부산진역이 바로 인접해 있다. 역사에서는 각종 전시, 캠페인, 공연 등의 문화 행사가 열린다. 노인 학대 예방 사진전, 불용 의약품 폐기 방법 관련 홍보 캠페인 등이 있었고, 2012년에는 결손 가정 어린이 및 무의탁 노인 돕기 캠페인, 부산고용노동부 취업 성공 패키지 사업 홍보 등의 행사가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